디지털안산문화대전 > 안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 근현대인물 > 의료인·예술인
의료인
-
일제강점기와 현대 안산 출신의 의료인. 본관은 김녕(金寧)이고, 호는 운초(雲樵)이다. 공조판서 김문기(金文起)의 14세손으로, 1904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에서 아버지 김봉성(金鳳聲)과 어머니 한양조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1971년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부인 영일정씨와의 사이에 4남을 두었으며, 묘는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 뒷산에 있다...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의료인.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성수(性壽), 호는 운암(雲巖)이다. 1891년(고종 28) 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에서 아버지 김준성(金駿聲)과 어머니 순흥안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나 안산문묘(安山文廟) 직원 김교성(金敎聲)에게 양자로 갔다. 효자 김충주(金忠柱)의 13세손이며 오정각을 건립한 김처일(金處一)의 증손이다. 부인 송수려(宋水麗)와의...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의 의료인·의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호는 우봉(又峰)이다. 1896년 출생하여 1973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138번지에 있으며, 묘비는 1983년에 건립되었다. 임명재는 서울 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모교에서 조교수로 일하였다. 이어 서울 안국동에서 안동의원을 개업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일본인 의사단체인 경성의사...
예술인
-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한 시인. 본명은 고성애이다. 고정희는 1948년 전라남도 해남시에서 5남 3녀 중 첫째로 출생하여 1980년대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에 거주하였다. 1991년 6월 9일 지리산 등반 도중 실족사 하였다. 장례는 민족문학작가회의와 광주·전남민족문학인협의회 주관으로 민족문학인장으로 치러졌다. 고정희는 1967년 전라남도 목포 지역의 젊은 문인들로 이루어진 흑조 동인...
-
개항기에서 현대 안산에 거주하면서 활동한 행정가이자 서화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성구(聖九), 호는 영운(穎雲)·향석(香石)·구룡산인(九龍山人) 등이다. 1878년(고종 15) 특진관(特進官) 김흥규(金興圭)의 아들로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나, 참판 김정규(金貞圭)에게 입양되었다. 양할아버지인 김병국(金炳國)이 영의정을 지낸 바 있으며, 친어머니가 흥선대원군의 외손녀로 당대의...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활동한 옥장(玉匠). 일석(一石) 김용철 옥장은 1941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 연구소를 차려 옥공예 연구에 매진하다가 2005년 사망하였으며, 현재 둘째 아들인 김성운이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보조자로 지정되어 명맥을 잇고 있다. 김용철은 여섯 살 되던 해 한국으로 건너왔다. 16세이던 1955년 통학길에 우연히 이웃 노인이...
-
경기도 안산 출신의 문화예술인. 본관은 진주. 자는 화일(華日), 호는 창농(倡農)·화은(華隱)이고, 초명은 유해창(海昶)이다. 유방(柳霶)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원성(柳遠聲)이고 아버지는 유한수(柳漢秀)이다. 유갑수(柳甲秀)에게 입양되었다. 유해엽은 부곡동 매미골에 있는 경성당에서 거주하며 지역의 역사를 알리는 데 힘을 다했다. 묘소는 상록구 부곡동 선산에 있다. 유해엽은 휘...
-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한 발탈[재담]예능 보유자. 박해일은 무성영화 변사였던 조하소로부터 재담과 화술을 배우면서 본격적으로 재담의 길로 들어섰다. 1953년 대한담우협회(大韓談友協會) 창립회원으로 활동을 시작하면서 「장님타령」과 「잔칫집 풍경」이라는 덕담으로 전국을 누비고 다녔다. 1967~1974년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을 역임하였다. 1983년 안산으로 이주하여 정착한 뒤...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에서 활동한 대중가수. 본명은 신경녀(申景女)이다. 1912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출생하여 2006년 사망하였다. 신카나리아는 원산루씨고등여학교를 중퇴하였다.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업을 계속하지 못했으나, 교회를 통해 성악가 이인범의 동생인 이옥현에게 노래를 배웠다. 16세 되던 해 극작가 임서방(任曙昉)이 이끌던 이동악극단 성격의 조선예술좌(朝鮮藝術座)가 원...
-
현대의 소설가이자 언론인. 오상원은 1929년 평안북도 선천군 신부면에서 출생하여 1985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원당골에 있다. 오상원은 1949년 용산고등학교를 거쳐 1953년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그 해 동아일보사에 입사한 후 언론계에 투신하는 한편 창작 활동을 하였다. 동아일보사에 입사한 후 1960년에 사회부 기자를 거쳐 그 뒤 동아방송...
-
현대의 시인이자 수필가·언론인. 본관은 전의(全義), 필명은 이오류(李午柳), 호는 소향(素鄕)이다. 이근영(李根泳)의 4남으로 1916년 경기도 부천군 계남면 궁리[지금의 서울시 구로구 궁동]에서 출생하였다. 1973년 사망하였으며, 묘는 안산시 상록구 양상동 남현교회 묘지에 있다. 1976년에 친우들이 뜻을 모아 이상로의 대표 작품인 시 「밤이 새면」을 새긴 시비(詩碑)를 세웠...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국악인. 이정업은 이성룡(李聖龍)의 손자이며, 이태평(李泰平)의 아들로 대대로 피리·해금·호적·북의 명인 가문이었다. 이정업은 1908년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출생하였고, 1973년 3월 20일 간암 등 합병증으로 타계하여 경기도 고양시 벽제에서 화장되었다. 이정업은 8세 때부터 예인의 길에 들어서 동이 트기도 전에 일어나 산에 올라...
-
경기도 안산에서 거주하며 활동한 영화배우. 장동휘는 1919년 6월 22일 인천에서 출생하여 2005년 사망하였다. 장동휘는 1938년 인천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중국으로 건너가 만주 악극단 칠성좌에서 연기 활동을 시작한 뒤, 광복 뒤에는 악극단 낙천지에서 활동하였다. 1957년 38세의 늦은 나이에 김소동(金蘇東) 감독의 「아리랑」에 출연하면서 영화계에 데뷔하였다. 그 뒤 임권택(林...
-
경기도 안산에서 활동한 시나리오 작가이자 향토사가. 본명은 장윤철로, 1927년 전라북도 익산에서 출생하였다. 2006년 사망하여 장례는 안산시민장으로 치러졌으며, 상록구 부곡동 납골당에 안치되었다. 장천호는 1945년 3월 전주사범학교 심상과(尋常科)를 졸업하고, 8·15광복 뒤 시문학동인지 『비색』의 동인이 되었다. 1948년 『새한민보』에 편집기자로 입사하였으며, 6·25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