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안산문화대전 > 안산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 근현대인물 > 독립운동가
-
일제강점기 안산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사람들. 개화기로 접어들어 열강들의 각축장이 되었던 안산 지역은 어느 지역보다 일제에 대한 저항이 강하게 나타났다. 1894년 일제는 안산 풍도에서 청나라 군함을 선제공격하여 청일전쟁을 일으켜 승리함으로써 동북아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그 후 일제에 의해 저질러진 을미사변에 이어 단발령이 내려지자, 안산 지역에서는 약 4천 명의 의병이 관...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4년(고종 21) 당시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 원곡리[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에서 출생하여 거주하였다. 강은식은 1919년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4일 오전 11시경 당시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 주재소 부근에는 약 1,000여 명이 집합하였다. 이미 3일 “거모경찰관주재소 및 군자면사무소를 불 질러 부숴버리자.”라...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이고, 1900년(고종 37) 당시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지금의 안산시 단원구]에서 출생하여 1955년 사망하였다. 권희는 1919년 4월 6일 시흥군 군자면 집에서 자신이 발의하고 집필한 『비밀통고(祕密通告)』라는 제목 아래 글을 작성하고, 이를 각 마을에서 차례로 회담하도록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조선이 일본에 강점된 이래로...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의전(義田), 호는 신암(愼庵)이다. 아버지는 김정락(金定洛)이다. 1882년(고종 19) 지금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김경념은 5세에 한문과 서예를 사사하였고, 약관 20세에 사서삼경(四書三經)과 독학으로 사학과 법제·경제학을 두루 섭렵하였다. 1897년 신문화 수입을 주창하면서 부조금제의 폐지...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병권은 1879년(고종 16)에 출생하여 1953년 사망하였다. 묘는 안산시 단원구 화정동 너빌마을에 있다. 김병권은 1900년 10월 무관학교 제2회 학도(學徒)에 선출되어 1903년 6월 졸업하고 육군 보병참위(步兵參尉)에 임관되어 복무하였다. 1907년 9월 14일 정미칠조약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면직되었다. 이후 안산 화정 너빌로 돌아와...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수웅은 시흥군 농회 지도원으로, 1945년 2월 태평양전쟁 당시 시흥군 수암면 부곡리 411번지[지금의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에서 이와무라 다케오[岩村武雄] 등에게 “어떤 사람에게서 들은 바에 의하면 최근 부산 상공에 미국 비행기 B29가 내습하여 금년 4월에는 조선의 징용이 폐지된다는 전단이 다수 살포되었다.”라는 이야기를 전하였다. 이로 인...
-
일제강점기 안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김윤규는 1894년(고종 31) 당시의 경기도 수원군 은덕면 신남리에서 출생하였으며, 1962년 사망하였다. 김윤규는 1919년 3·1운동 당시 부천군 대부면 동리에 거주하던 중 4월 1일 대부도(大阜島)[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에서 노병상(盧秉相)·홍원표(洪元杓) 등과 함께 독립 만세 시위운동을 일으키기로 계획하였다. 자신의 집에 모여...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천복은 1898년(고종 35) 당시의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 죽률리에서 출생하였다. 김천복은 안산 지역의 3·1운동에 참여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적으로 벌어지자 4월 4일 당시 시흥군 군자면사무소가 있던 거모리에서도 만세시위가 있었다. 4월 4일 오전 11시경 주재소 부근에 약 1,000여 명이 집합하였다. 이미 3일 “거모경찰관주재...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노병상은 1919년 전국 각지에서 만세 시위운동이 행해지고 있음을 듣고, 3월 31일 같은 동리에 사는 김윤규(金允圭)·홍원표(洪元杓) 등과 영전면의 사적장에서 만나 시위를 결의하였다. 그 날 밤 김윤규의 집으로 간 노병상은 준비한 포목으로 태극기를 만들고 다음날인 4월 1일 주민 다수를 규합하여 독립 만세 시위를 주도하다가 일본 경찰에 붙잡혔다...
-
개항기에서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晋州), 아버지는 유원형(柳遠衡)이다. 1870년(고종 7)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부곡동 출생으로 3·1운동 당시에는 지금의 상록구 월피동에 거주하고 있었다. 묘는 상록구 부곡동에 있다. 유익수는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전국적으로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그는 1919년 3월 30일 능곡리의 윤병소(尹秉昭), 와리(瓦...
-
일제강점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명(異名)은 윤병소(尹秉昭)이다. 1893년(고종 30) 경기도 수원군 음덕면[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 출신으로 3·1운동 당시에는 수암면 능곡리 182번지에 거주하고 있었다. 윤병소는 1919년 3월 30일 시흥군 수암면[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수암동] 일대의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동하였다. 그는 이해 3월 29일 이봉구(李鳳求)로...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봉문은 1890년(고종 27)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서 출생하였다. 이봉문은 1919년 3월 30일 당시 수암면 수암리 비석거리에서 면민 2,000여 명과 함께 행진하면서 만세를 불렀다. 순사의 해산 명령에 따르지 않고 태극기를 떠받들고 읍내로 행진하여 주재소·보통학교·면사무소·공자묘 앞에서 만세 시위 행진을 하였다. 해산 후 수...
-
일제강점기 안산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장순한은 1919년 4월 고향인 시흥군 군자면 장곡리 [지금의 시흥시 장곡동]장터에서 태극기를 들고 독립만세를 부르자는 비밀통고문을 작성하고 배포하다가 주동자로 체포되어 11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일제강점기에서 현대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최승만은 1897년(고종 34)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에서 출생하여 1984년 사망하였다. 최승만은 장훈초등학교를 거쳐 1915년 보성중학교를 졸업한 뒤 1917년 동경관립 외국어학교 노어과(露語科)에 재학하던 중 유학생 최팔용(崔八鏞) 등과 독립운동을 추진하여 2·8독립선언을 발표하였다. 유학생이 중심이...
-
일제강점기 안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순칠은 1877년(고종 14)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와동에서 출생하여 1932년 사망하였다. 현재 안산시 단원구 와동체육공원에 기념비가 있다. 홍순칠은 1919년 3월 29일 시흥군 수암면 와리에서 독립 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여 태극기를 제작하고 주민을 규합하는 일에 참여하였다. 다음날인 3월 30일 비립동에 집결하기로 하여 주민들에게...
-
일제강점기 안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홍원표는 1875년(고종 12) 경기도 화성에서 출생하여 1919년 3·1운동 당시 부천군 대부면 동리[지금의 안산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1962년 사망하였다. 홍원표는 3·1 독립 선언이 있은 후 전국 각지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함성이 높아지자 이에 적극 호응하여 3월 31일 부천군 대부면에 사는 김윤규(金允圭)·노병상(盧秉相)과 영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