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배치기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501
영어의미역 A Song Sung When Returning to The Village after A Good Fishinng
이칭/별칭 「풍어 노래」,「봉죽 노래」,「풍어가(豊漁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안산시
집필자 이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
형성시기 고대~조선시대
토리 무반음전음계의 라선법[L1줏대]. ‘라’에서 종지[t1]요성음: 라레미[v1,4,5]
출현음 [파]라·도·레·미·솔
기능구분 어로노동요
형식구분 멕받형식
박자구조 굿거리
가창자/시연자 김석근|주장성|천병희|홍봉산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부르던 만선의 풍어 노래.

[개설]

고기잡이 조업이 끝나면 어부들은 만선(滿船)을 표시하기 위해 배에다 봉기를 달고 배 위에서 풍물을 치며 흥겹게 노래를 하고 춤을 추었는데 이를 ‘배치기’라고 한다. 「배치기 소리」는 「풍어 노래」·「봉죽 노래」 등으로 불리며, 황해도 연안과 경기만 쪽이 그 본고장으로 보인다. 흥겹기 때문에 목포, 진도군의 조도, 소흑산도까지 전파되어 있지만 이들 전라남도 지역의 그것은 아형(亞型)에 속한다.

[채록/수집상황]

1991년 8월 30일 안산시를 방문하여 [메]김석근, [받]주장성·천병희·홍봉산 등으로부터 채록하였는데, 이는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안산시사』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멕받형식의 일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래가 일단락되면 사물이 4장단 정도 들어가며, 멕이는 것을 돌려가며 멕이는 것이 주로 선소리꾼 혼자 메기는 일반적 멕받형식과 차이가 난다.

[내용]

북치고 났소 북치고 났소 연평바다서 북치고 났다/ 저 어­ 에 에헤/ 에 흐 흐 흐아아, 에헤 흐아 흐하요/ 이물 고물에 봉죽을 꼽고/ 허릿대 밑에다 배포장 치였다/ 저 헤에 으흐 으흐흐, 으아아 흐아아/ 에 흐 아아 에헤흐아흐 하요/ 에 흐아 흐 아요/ 삼국충신 임장군님 우리 배불러서도 장원졌다/ 에헤아 에헤에헤/ 으 흐으 으으아아 예헤어 하요/ 아랫웃동 다 저차 놓고/가운데 동에서 손머리 쳤다/ 헤이에헤 에에에 에에에 에 에/ 에헤에 으 하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배치기 소리」가 들리면 배가 만선 귀환함을 동네 사람들이 알고 이를 맞이하러 바닷가로 나온다. 또한 지나가는 상고선이 만선했음을 알고 바다에서 바로 거래가 이루어졌다.

[의의와 평가]

안산 지역의 가창자들도 상당히 정연하게 가창할 수 있었던 「배치기 소리」는 경쾌하고 흥겨운 노래였다. 지금은 「배치기 소리」를 노래할 줄 아는 사람이 드물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