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논매는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489
영어의미역 A Song Sung When Weeding A Rice Paddy.
이칭/별칭 「논맴 소리」,「논지심 노래」,「호초가(薅草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안산시
집필자 이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
형성시기 고대~조선시대
토리 다양함
출현음 솔·도·레·미·솔
기능구분 농업노동요
형식구분 멕받형식
박자구조 다양함
가창자/시연자 「논매는 소리」[상사]: 천병희[1926년생]

[정의]

경기도 안산 지역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농업노동요.

[개설]

안산 지역의 「논매는 소리」는 「논맴 소리」·「논지심 노래」 등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논맴 양산도」·「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어럴럴럴 상사」·「방아 소리」·「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 등은 경기도 특수 지역의 소리이고, 「어럴럴럴 상사」·「방아 소리」 등은 경기도 일반 지역의 소리이다.

「논맴 양산도」「얼카덩어리」는 남쪽 지방의 소리가 안산시까지 전파된 것이다. 「논맴 양산도」는 전라남도의 화순군이 본고장인 소리로 남원군 아영면,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에서도 나온다. 경기도에서는 안산시 신길동수암동, 평택시 송탄지구, 성남시 분당에서만 수집되었다. 「논맴 양산도」는 일반 민요 「양산도」나 경기 지방의 「논김 양산도」 등과 구별된다. 「얼카덩어리」는 서부 충청남도 지방이 본고장인 「논맴 소리」이다. 경기도에는 안산시, 안성시, 용인시, 이천시, 평택시 및 화성시에 전파되어 있다.

[채록/수집상황]

안산 지역의 「논매는 소리」에 대한 필자의 수집은 1987년에서 2002년 사이에 행해졌다. 안산의 「논매는 소리」 중에서 「논맴 양산도」·「실모 소리」·「둘레 소리」·「몸돌 소리」·「방아 소리」·「얼카덩어리」 등에 대해서는 따로 항목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곳에서는 「어럴럴럴 상사」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상사류를 신길3동[능길]과 반월동[안골], 본오동, 성포동장하동에서도 수집하였는데, 능길마을의 받음구는 수암동처럼 ‘얼럴럴’상사 계통이고, 그 이외의 경우는 보다 경기도적 색채인 ‘네넬넬’상사 계통이었다. 서북부 경기도는 ‘네넬넬’상사 계통이 지배적임에 비해, 동남부 경기도는 ‘얼럴럴’상사 계통이 우세하다.

[구성 및 형식]

안산시 수암동 주민 천병희[남, 1926년생]의 「논매는 소리[상사]」는 멕받형식이며 받음구가 “어럴럴럴 상사디야”이다. 메김선율과 받음선율이 각각 3분박 4박 1마디씩이다. 메김구는 2음보씩이되 그 1음보는 5 또는 6자 구성이다. 구성음은 솔·도·레·미·솔이며, 기음의 4도 윗음인 ‘도’에서 종지한다.

[내용]

어럴럴럴 상사디야[덩이야]/ 상사부 사는 동부사 로고나/ 우리 농군들 내말 들어라/ 일락은 서산에 햇 떨어지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가창자 천병희는 호미로 논을 맬 때, 「실모 소리」·「상사 소리」·「얼카덩어리」를 차례로 불렀다. 마지막에 뺑뺑 쌈을 싸면서 「몸돌 소리」를 하며 “우―” 하는 함성을 지르고 논둑으로 올라왔다.

[현황]

제초제를 쓰면서부터 논맬 필요가 없게 되어, 「논매는 소리」는 들에서 사라지고 선소리꾼의 기억 속에서만 남게 되었다. 1980년대에 70세 전후의 토박이 농민으로부터 논매는 소리를 녹음하였으며, 그 당시 60세는 간단한 소리를 아는 정도였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분들이이 많다.

[의의와 평가]

안산 지역의 「논매는 소리」는 한강 이남 서부의 경기도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