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시 송암사에 소장되어 있는 1495년 간행한 『반야심경 소현정기』 국역본. 『반야심경 소현정기』(언해)는 당나라 법장(法藏)[643~712]이 찬술한 『반야심경 약소』에 송나라 중희(仲希)가 찬술한 『현정기(顯正記)』를 저본으로 효령 대군(孝寧大君)과 한계희(韓繼禧) 등이 세조의 명으로 국역(國譯)하여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판각한 목판에서 149...
-
1898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동목(同牧) 소재 총융청(摠戎廳) 소속 둔전의 도전(賭錢)을 파악해 정리한 책. 「양주 소재 총둔 도전 수봉책(楊州所在摠屯賭錢收捧冊)」은 1898년(고종 35) 11월 양주목에서 동목에 있는 총둔(摠屯), 즉 총융청 소유 둔전(屯田)에서 거두어들인 도전의 수입을 파악해 경리원(經理院)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도전이란 도지(賭地)라고도 하는데 남...
-
1898년 경기도 양주군에서 동군(同郡)에 있는 충훈부(忠勳府) 소속 둔전의 추수 결과를 기록한 책. 「양주 소재 훈둔 추수책(楊州所在勳屯秋收冊)」은 1898년(고종 35) 11월 양주목에서 훈둔(勳屯), 즉 충훈부 소속 둔전(屯田)의 가을걷이 결과를 조사해 경리원(經理院)에 보고할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경리원은 대한 제국 때 왕실의 재산을 관리하던 관청이다. 작성 책임자는 둔...
-
1898년 경기도 양주군에서 동군 소재 초촌(草村)의 화전(火田)에서 거둔 조세를 기록한 책. 화전은 원래 세금을 면제받아야 하지만 조선 시대에는 매년 가을 경작 현황을 조사해 경작지에 한해 세금을 거두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화전이 세금 면제와 부역 회피의 대상으로 전락해 정부가 한 때 화전 경작을 금지하기도 했으나, 이곳에서 발생하는 수입은 관청의 경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
1895년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능(陵)·원(園)·묘(墓)의 수리비 및 특별히 감면된 둔토(屯土)의 세금을 기록한 책. 「양주군 각 능원묘 수리비 급 특감미 대전 소수 실수 구별 성책(楊州郡各陵園墓修理費及特減米代錢所受實數區別成冊)」은 1895년(고종 32) 양주군에 있는 능·원·묘의 수리비 및 특별히 감면된 둔토의 세금을 정리해 정부의 재정 담당 부서인 탁지부(度支部)에 올린 책이...
-
1900년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역둔토의 도조 현황과 도조의 납부·미납부 실태를 기록한 책. 「양주군 각 역 도조 실수 급 각 둔 기경 양년 조납 미납 구별 병시직 성책(楊州郡各驛賭租實數及各屯己庚兩年條納未納區別幷時直成冊)」은 1900년(고종 37) 12월 경기도에서 양주군에 있는 역둔토의 도조(賭租)[고정된 소작료] 현황과 1899~1900년 그 실태를 조사해 기록한 책이다. 역(...
-
1899년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둔토(屯土)의 현황을 기록한 책. 「양주군 소재 각 둔토 두락 급 결복 구별 성책(楊州君所在各屯土斗落及結卜區別成冊)」은 1899년(고종 36) 5월 양주군에 있는 둔토의 두락(斗落)과 결부(結負)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899~1906년에 경기도와 인천부에 있는 역둔토(驛屯土)의 현황을 기록한 『경리원역둔토성책(經理院驛屯土成冊)』[필사본, 2...
-
1897년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둔토(屯土)의 실태를 기록한 책. 「양주군 소재 전 경리청 갑사 둔전답 두락 경수 결복 사검 성책(楊州君所在前經理廳甲士屯田沓斗落耕數結卜査檢成冊)」은 1897년(고종 34) 10월 경기도 양주군에서 전 경리청(經理廳)의 갑사(甲士)에게 제공되던 양주군 소재 둔전답(屯田畓)의 실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경리청은 북한산성의 관리를 담당한 기관으로...
-
1896년 경기도 양주에 있는 충훈부(忠勳府) 소유의 둔토를 기록한 책. 「양주군 소재 충훈부 둔토 성책(楊州君所在忠勳府屯土成冊)」은 1896년 한성부 사판위원(査辦委員)이 양주에 있는 충훈부 소유의 둔토(屯土)를 조사해 상부에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충훈부는 각종 공신(功臣)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양주군 소재 충훈부 둔토 성책」은 내수사(內需司)에서 만든 『각군역토성책(...
-
1895년 경기도 양주군에서 근무하는 순검에게 지급된 노자를 기록한 책. 「양주군 유임 순검 반전 상하 성책(楊州君留任巡檢盤纏上下成冊)」은 경기도 양주군에서 1895년 4월부터 윤5월까지 본군에 근무한 순검(巡檢)에게 지급한 노자(路資)를 조사, 정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순검은 개항기에 내부(內部) 경무청(警務廳)에 소속된 경리(警吏)로, 각 관아마다 30명을 두었다. 순포(巡捕...
-
1816년 경기도 양주목에 있던 명선공주방(明善公主房) 소유의 토지를 다시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1683년(숙종 9) 명선공주방에서 경기도 양주목 고양주면(古楊州面) 항동리(項洞里)[지금의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및 자마장리(雌馬場里)의 토지를 매입했는데, 1816년(순조 16) 이 토지를 왕실 재산을 관리하던 내수사(內需司)에 이관시키게 되었다. 「양주목 고양주면 소재 명선공...
-
1857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지방관 사망 시 제공되는 인력과 운송 수단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책. 「양주목 과경 상행 담군 가우 대전 마련 절목(楊州牧過境喪行擔軍駕牛代錢磨鍊節目)」은 1857년(철종 8) 12월 경기도 양주목에서 지방관인 감사·군수·찰방 등이 사망했을 때 제공되는 상담군(喪擔軍)[상여를 옮길 인력꾼] 및 상가우(喪駕牛)[상례 때 사용되는 우마차]의 준비 비용에 대해...
-
1671년 경기도 양주목에 있는 독안산(禿案山)에 외부인이 묘를 조성한 사실을 조사해 기록한 책. 「양주목 명선공주방 독안산 시장 절수 내 투장 허적간 성책(楊州牧明善公主房禿案山柴場折受內偸葬虛摘奸成冊)」은 1671년(현종 12) 5월 명선공주방(明善公主房) 소유의 독안산에 외부인이 몰래 묘를 조성한 일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기록한 책이다. 왕실 소유의 토지에 일반인이 불법적으로 묘를...
-
1683년 경기도 양주목에 있는 명선공주방(明善公主房) 소유의 토지를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명선공주방 매득 전답 타량 성책(楊州牧明善公主房買得田沓打量成冊)」은 1683년(숙종 9) 5월 경기도 양주목 남면[지금의 양주시 은현면]에 있는 명선공주방 소유의 토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규 18756]. 필사본 1책[4장...
-
1725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숙빈방(淑嬪房) 소유의 향탄산(香炭山)을 다시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숙빈방 계하 향탄산 절수 개타량 정계 어람 성책(楊州牧淑嬪房啓下香炭山折受改打量定界御覽成冊)」은 1725년(영조 1) 11월 양주목에서 숙빈방 및 육상궁 소유의 토지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여 영조에게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이 책에는 백석면(白石面) 및 현내(縣內)에 있...
-
1678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동목(同牧)에 있는 어의궁(於義宮) 소속의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어의궁 위전답 타량 성책(楊州牧於義宮位田沓打量成冊)」은 1678년(숙종 4) 양주목에서 어의궁 소속의 위전(位田)과 위답(位畓)의 규모와 토질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어의궁은 효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이다. 인조의 계비(繼妃)인 장렬왕후(莊烈王后)...
-
1719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연잉군방(延礽君房)이 새로 구매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연잉군방 매득 전답 타량 성책(楊州牧延礽君房買得田沓打量成冊)」은 1719년(숙종 45) 12월 연잉군방에서 양주목 백석곶면 우장리, 광석면 삼고개(三古介)[지금의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 일대에 구매한 전답의 규모와 토질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연잉군[1694~1776]은...
-
1725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창의궁방(彰義宮房)이 새로 구매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창의궁 매득 전답 타량 어람 성책(楊州牧彰義宮買得田沓打量御覽成冊)」은 1725년(영조 1) 3월 양주목에서 창의궁방이 새로 구매한 경기도 양주목 백석면 소재의 전답 9필지를 측량한 뒤 만든 책이다. 창의궁(彰義宮)은 조선 제21대 국왕인 영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거주했던 집이다...
-
1727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동목(同牧)에 있는 어의궁(於義宮)의 율원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풍양 접동면 구궐기지 어의궁 율원 타량 어람 성책(楊州牧豊壤接洞面舊闕基址於義宮栗園打量御覽成冊)」은 1727년(영조 3) 초 양주목에서 동목에 있는 어의궁 소유 율원의 규모를 정확히 측량해 영조에게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어의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에 있던 궁궐로...
-
1886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동목(同牧)의 환곡 현황을 기록한 책. 「양주목 환곡 성책(楊州牧還穀成冊)」은 1886년(고종 23) 5월 양주목에서 창고에 있던 환곡(還穀)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환곡이란 정부와 지방 관청에서 춘궁기에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가을걷이 뒤에 돌려받는 것을 말한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奎16110]. 필사본 1책[2...
-
조선 시대 경기도 양주목에서 동목(同牧) 소재의 목장 전답 중 새로 개간해 경작하는 토지를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장 신기전답 양안(楊州牧場新起田沓量案)」은 정묘년(丁卯年) 5월 양주목에서 동목 소재 목장(牧場)의 신기전(新起田)을 측량해 만든 책이다. 경기도 양주에 있는 목장 전답 중 금년에 새로 경작하게 된 토지의 면적을 파악할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작성 연대가 ‘정묘...
-
1724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용동궁(龍洞宮)이 구입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지 동십리 돌곶지 천장동 복재 용동궁 매득 전답 어람 성책(楊州地東十里乭串地天藏洞伏在龍洞宮買得田沓御覽成冊)」은 1724년(경종 4) 1월 양주목에서 용동궁이 구입한 동목(同牧) 동십리 돌곶지 천장동 산척주회팔리(山脊周回八里) 도국(都局) 내에 있는 전답을 측량한 후 국왕의 열람을 목적으로 작...
-
1765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연희궁(延禧宮) 묘소 주변 등의 전답을 추가 매입해 측량한 뒤 만든 토지 대장. 「연희궁 묘소외 청룡 백호 식목처 추입 전답 타량 성책(延禧宮墓所外靑龍白虎植木處追入田沓打量成冊)」은 1765년(영조 41) 3월 양주목에서 연희궁 묘소의 내청룡(內靑龍) 근처의 전답 및 외청룡(外靑龍)·백호(白虎)의 나무 심는 곳을 단장하기 위해 추가 매입한 전답 현황을 상...
-
1689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인빈방(仁嬪房)이 구입한 동목(同牧) 소재의 제전(祭田)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인빈방 제전 양주 풍양 복재 매득 후 계하 면세 전답 개타량 성책(仁嬪房祭田楊州豊壤伏在買得後啓下免稅田沓改打量成冊)」은 1689년(숙종 15) 3월 경기도 양주목에서 인빈방이 구입한 동목 소재 제전을 정확히 파악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책의 말미에 타량관(打量官) 및 양...
-
1730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정빈방(靖嬪房)이 새로 구매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정빈방 신 매득 전답 타량 성책(靖嬪房新買得田沓打量成冊)」은 1730년(영조 6) 3월 경기도 양주목에서 정빈방이 새로 구입한 동목(同牧) 백석면 고령리(高嶺里)[지금의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소재 전답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빈(靖嬪)은 영조의 후궁이며, 진종(眞宗)...
-
조선 후기에 편찬된 경기도 양주의 세족 가문인 양주 조씨(楊州趙氏) 문중의 족보. 『양주조씨 세계록(楊州趙氏世系錄)』은 족보의 분류상 자기 집안의 직계를 기록한 가승(家乘) 혹은 가첩(家牒)에 해당된다. 1세 조언세(趙彦世)부터 11세 조경장(趙敬長)까지 대수(代數)와 해당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9세기 중반 조경장 등 양주 조씨 후손들이 자신들의 직계 선조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
-
조선 후기에 편찬된 경기도 양주의 세족 가문인 양주 조씨(楊州趙氏) 조제만(趙濟晩) 가의 족보. 『양주조씨 소보(楊州趙氏小譜)』는 족보의 분류상 자기 집안의 직계를 기록한 가승(家乘) 혹은 가첩(家牒)에 해당된다. 19세기 중반 양주 조씨 조제만 가에서 자신들의 직계 선조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기 위해 『양주조씨 소보』를 제작하였다. 편찬 주체는 조제만의 자손들로 추정된다. 즉 조제...
-
1743년에 간행된 경기도 양주의 세족 가문인 양주 조씨(楊州趙氏) 문중의 족보. 『양주조씨 족보(楊州趙氏族譜)』는 양주 조씨 조갑빈(趙甲彬) 문중에서 자신들의 직계 선조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기 위해 제작하였다. 원래 1721년(경종 1) 조태만(趙泰萬)이 초고를 완성하여 그의 아우인 조태억(趙泰億)이 경상감사로 재직할 때 간행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1727년(영조 3)...
-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 김성수 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서. 김성수가 소장 자료는 총 9건의 낱장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 문서의 크기를 살펴보면, 「토지 건물 소유권 보존 이부(二付) 증명 신청서」[1913년]는 가로 26.9㎝×세로 39㎝, 「매도 증서①」[1921년]은 가로 27.4㎝×세로 39.8㎝, 「매도 증서②」[1930년]는 가로 27.4㎝×세로 39.8㎝, 「매도 증서③」...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 부여 서씨 일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고전적 및 고문서. 부여 서씨 일가 소장 자료의 소장자는 부여 서씨 29세손이자 정의공파(貞毅公派) 12세 종손인 서형관(徐炯寬)으로, 현재 고전적 8건, 고문서 38건 등을 소장하고 있다. 부여 서씨 17세손으로 정의공파의 파조(派祖)였던 육곡(六谷) 서필원(徐必遠)[1614~1671]과 그의 아들 서경조...
-
경기도 양주시의 수원 백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와 고서. 수원 백씨 일가 소장 자료는 유서(諭書)·교지(敎旨)·전령(傳令) 등의 고문서와 고서로, 백유함(白惟咸)·백선민(白善民)·백시방(白時昉)·백시구(白時耈)·백원진·백이규·백흥수(白興洙)·백윤기(白胤基)에게 발급된 교지 88건과 백동준(白東俊)에게 발급된 유서 4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지는 국왕이 신하에게 관직·작위·...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 안민용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와 고문헌. 안민용가 소장 자료는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세종의 둘째딸인 정의공주(貞懿公主)의 남편]의 후손인 죽산 안씨 가문의 종손 안민용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로 총 246매의 고문서와 22종의 고문헌이 소장되어 있다. 안민용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는 크게 간찰류, 교지류, 명문류, 제문류로 구분할 수 있다....
-
경기도 양주시의 충주 최씨 일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고문서. 충주 최씨 일가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는 교지(敎旨) 20건이다. 1870년부터 1893년까지의 교지로, 최제(崔濟) 관련 교지 2건, 최혁(崔爀) 관련 교지 2건, 최규석(崔圭錫) 관련 교지 16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제·최혁은 효자로 이름이 나 있어, 최제에게는 1855년(철종 6), 최혁에게는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