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 있는 자연 마을. 가능은 조선 중기 청백리로 유명한 백인걸(白仁傑)의 묘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혹은 골짜기의 숫자가 백골이 되어야 능이 되는데 이 마을에 있는 골짜기가 아흔아홉 골에 그쳐서 진짜 능이 되지 못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언제부터 가능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조선 중기 백인걸의 묘가 만들어진 이후부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 시대 연산군이 경기 북부 지역을 사냥터로 지정하고 이 구역에 백성의 접근을 금지하는 금표(禁標) 줄을 쳤다. 이때 금표 구역에서 바깥쪽에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라 하여 가좌동(佳左洞)이라 불렸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가재울로 발음이 변하였다. 가재울은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가자동리(加自洞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도로명...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자연 마을. 고릉말은 옛날에 능이 있던 마을 혹은 능 자리로 적합한 지역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양주군지』[1992]와 『양주 땅이름의 역사』[2001]에 따르면 1895년 일본이 제작한 군사 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에 처음으로 고릉리(古陵里)로 소개되어 있으며, 이후 고릉말로 불리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로명주소 등 표기에 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자연 마을. 지명 유래에 몇 가지 설이 있다. 만석지기 아홉 명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으며 마을이 흡사 거북이의 머리, 등, 꼬리와 같은 형상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한편에선 일제가 원래의 이름을 한자로 옮기면서 발음을 따서 만든 이름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구만리라는 지명은 이미 19세기 말에 제작된 일본 군사 지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운암리에 있는 자연 마을. 구미(龜尾)라는 이름의 유래는 땅 모양이 거북이 꼬리처럼 생긴 마을이라 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남쪽에 위치한 구수에 거북이 모양을 한 바위가 있는데 이 거북바위의 꼬리 부분이 구미를 향하고 있어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두 가지 설 중 어느 것이 더 정확한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구미는 개항기까지 옛 양주군 묵은면 삼패상리를 가리키는 이...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 있는 자연 마을. 1910년 이후 기우리로 불리고 있으며 원래는 지초라는 풀이 많이 나 지곡(芝谷)이라 불리었다. 기우리는 ‘지곡’과 같은 땅 이름으로 기우리에서 ‘기’는 지와 통하고 ‘우리’는 울[계곡]과 통한다. 언제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일제 강점기 이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해 온다. 인근에 천주교 박해를 피해 들어온 마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 뒷들 동쪽에 있는 자연 마을. 나리골은 산기슭에 날아갈 것 같은 모습으로 자리 잡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 마을의 양쪽에 나지막한 산자락이 펼쳐져 있어 마치 나비가 날개를 활짝 펼쳐 감싸 안은 모습이라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여겨진다. 한자로는 비동(飛洞)이라 한다. 이밖에 등골에서 내려다보여서 붙은 이름이라는 설과 옛날에 벼슬한 나리들...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 있는 자연 마을. 냅대란 땅 이름은 마을 앞으로 흐르는 냇가 주변에 대나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전하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왜병이 이곳에서 싸우다가 냅다 도망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흐르는 냇물을 뜻하는 ‘천(川)’자와 대나무 ‘죽(竹)’자를 합쳐서 천죽이라고도 부른다. 일제 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자연 마을. 당챙이는 ‘당청(堂廳)’의 발음이 변한 것으로, 당청리(唐淸里), 당청이, 당청이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 관리, 특히 내관(內官)이 많이 살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은 경제적으로 부유해서 대대로 큰 기와집을 짓고 살았다고 한다. 일설에는 당청(唐淸), 즉 당(唐)나라 사람을 초빙해 궁술을 연마하던 곳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두곡리에 있는 자연 마을. 대추말은 대추나무가 많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슷한 이름인 대춘말이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 있으며 남면 두곡리의 대추말과 낮은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접해 있다. 이 일대에 대추나무가 많이 서식함을 알 수 있다. 한자로 대조동(大棗洞)이라고도 한다. 대추말의 형성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 시대에 적성군 남면...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자연 마을. 독재동(篤才洞)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독재이라고도 한다. 경기도 화성군에도 같은 지명이 보이며, 마찬가지로 마을에 재주 있는 사람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독재동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다. 일설에는 난리나 조정의 모함을 피해 온 사람들이 만든 피난지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양주군 장흥면 삼패...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자연 마을. 도락산(道樂山)[440m]에서 발원하여 이곳 비암산(鼻巖山) 자락의 깊은 골짜기를 지나는 시내가 1㎞ 지점에서 남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급하게 돌린다. 따라서 밖에서 시내를 볼 때 상류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숨어 있는 시내’라 하여 둔계(遯溪)라 하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됭계로 불리기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 때 전라북도 부안군 남하면에...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마라니라는 이름의 유래에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우선 천마산에서 사냥을 하기 위해 효령대군(孝寧大君)이 역마(驛馬)를 탔을 때 말이 땀을 많이 흘려 붙은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도읍을 정하기 위해 전국 각지를 다니다가 이 마을을 지나게 된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타고 있던 말이 땀을 많이 흘린 곳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라는 설도...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자연 마을. 매내미라는 명칭은 춘향의 어머니인 월매(月梅)에서 비롯된다고 전해진다.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곳에 소설 『춘향전(春香傳)』의 주인공인 춘향의 산소가 있었는데,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후손이 이곳에 살면서 춘향의 산소가 여기에 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숨기려고 일부러 춘향의 어머니인 월매의 ‘매’자와 남원(南原)의 ‘...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자연 마을. 예전에 산속에 논이 있었는데 가뭄에 벼농사를 지을 수 없어 묵혀 놓은 논이 많아 ‘묵은 논’이라 불리다가 묵은동(默隱洞)이 되었다. 이외에 묵은논이·진답(陳畓)이라 불렸으며, 옛 묵은[진답]면사무소가 있었던 관계로 일패라고도 하였다. 묵은동이 속한 용암리라는 땅 이름은 약대산[일명 악대산]에 있는 전체 둘레 15m, 폭 6m, 높이...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자연 마을. 마을 주위의 조그만 산자락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상이므로 뭍의 안쪽이라고 부르다가 뭇태안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서 계절풍을 막기 위해 마을 앞쪽으로 흙을 쌓고 그 위에 바람막이 나무를 심어서 방축(防築)이라고도 불리었다. 뭇태안이라는 이름은 1895년 일본이 제작한 군사 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에 처음 나오며, 일제 초기의 문...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운암리 일대의 자연 마을. 발운마을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조선 시대 방주골 남동쪽 지역의 상패천[현 양주시 은현면 운암리의 신천]이 마을 앞의 한림바위 근처를 돌아나가면서 생긴 물안개에서 비롯되었다. 멀리서 보면 물안개가 마치 구름이 피어오르는 것처럼 보여 발운(發雲)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발운리의 발음이 변형되어 바루니·배루니·물가배루니...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자연 마을. 봉우재는 근처에 봉화(烽火)를 피우던 산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봉우재’라는 이름은 봉수대(烽燧臺)를 의미하는 우리말이다.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도 같은 지명이 보인다. 관련 연구에 의하면 전국에 봉우재라는 이름이 150여 군데에 달한다. 봉우재는 최소한 18세기 후반부터 양주군 천천면 덕정리에 속해 있었다. 일제의 지방 행정...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괴(四槐)라는 지명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느티나무 네 그루가 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괴목(槐木), 즉 홰나무가 서식하는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옛날에 이곳에서 창호지를 만들었기 때문에 창호지를 의미하는 사괴지(四塊紙)에서 따온 말이라는 설도 있다. 동두천지동(紙洞), 양주군 회천면 봉양리조휘동[종이동의...
-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과 백석읍 방성리 양주 대모산성에 걸쳐 있었던 자연 마을. 양주산성[양주 대모산성]이 있어서 원래 산성 또는 산성마을이라고 불리다가 일제 강점기에 들어서 산성동이라고 불리기 시작하였다. 일제 초기의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서는 이 지역을 산성리(山城里)로 소개하였다. 산성의 일부는 지금까지 남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자연 마을. 섬말은 마을 전체가 물로 둘러싸여서 섬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로 율량천과 봇물이 마을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들 한 가운데에 섬처럼 있는 마을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다. 양주시 백석읍에도 같은 지명이 있으며, 홀로 떨어져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유래도 같다. 한자로는 도촌(島村)이라고 한다. 섬말의 형성...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 있는 자연 마을. 송추골은 소나무[松]와 가래나무[楸]가 많아 원래 송추(松楸)라고 불리었다. 한자로 ‘송추동(松湫洞)’이라고 쓰면서 가래나무 ‘추(楸)’자 대신 못 ‘추(湫)’자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사계절 내내 맑고 시원한 물이 계곡에 흘렀기 때문이다. 울창한 숲과 시원한 계곡이 있는 곳이라는 뜻이다. 송추골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대한 제국...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일대의 자연 마을. 신내라는 명칭은 마을 주위를 흐르는 신천에서 비롯되었다. 신내가 형성되던 시기부터 마을의 젖줄 역할을 했던 신천은 유래가 밝혀지지 않은 탓에 ‘신천(莘川)’, ‘신천(新川)’, ‘신천(信川)’ 등 각기 다른 한자로 불려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없으며, 신내라는 마을 명칭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신천 주변에 위치해 신내로 불렸으나...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자연 마을. 복지리에서 으뜸가는 연못인 신지(莘池)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신지라고 불렀다. 호명산과 한강봉 사이에 있는 홍복고개가 불 ‘화(火)’자의 형상을 하고 있어 옛날에 노인들이 화재 발생 예방 차원에서 화기를 누르려고 연못을 팠다고 전해지고 있다. 일제 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년]에는...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원골은 고을 원님인 양주목사가 있는 읍내로 들어가는 길목의 골짜기이었다. 흔히 양주시 유양동 중심부에 위치한 관아터 부근이 원골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관아터 부근을 원골이라 부른 적이 한 번도 없었으며, 북서쪽의 외지에서 관아터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이곳을 원골로 불렀다고 한다. 원골은 양주시 유양동에서 백석읍 방성리로 넘어가는 골...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자연 마을. 지명의 유래에 여러 설이 있다. 고을의 원(院)이 있던 마을이라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역로(驛路)를 따라 지어진 주막(酒幕)이 있던 마을이라는 뜻에서 주원동(酒院洞)으로 불리다가 ‘주(酒)’자가 ‘주(朱)’자로 변하였다는 설도 있다. 일설에는 ‘좋은 터’가 시간이 흐르면서 주원터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주원터의 정확한 형...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청풍(淸風)’은 바람이 많이 부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청풍동의 형성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 제국 시기에는 양주군 어등산면 4리·5리, 이담면 송라리, 회암면 송현리 일부에 속한 지역이었다. 1914년 일제의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양주군 회천면 봉양리 산18-15번지 일대가 되었다. 1985년 회천면이 회천읍으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자연 마을. 홍복(洪福)은 큰 복을 받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895년 일본이 제작한 군사 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에 홍북(弘北)이라고 나와 있으나, 일제 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백석면의 홍복리(弘福里)로 소개되어 있다. 홍복이라는 명칭은 2011년 현재도 사용되고 있...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자연 마을. 회만동(回晩洞)은 회만이를 한자로 바꾼 이름이다. 마을 중앙에 야산이 자리 잡고 있어, 한 동네에서 다른 동네를 갈 때 돌아서 가는 곳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일설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싸움이 벌어진 매초성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가 대패하고 말을 돌린 곳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일제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던 다리 또는 그 다리가 있던 자연 마을. 신산리를 관통하는 시내인 입암천(立巖川)을 건너기 위해 흙으로 다리를 만들었는데 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마을과 장이 형성되어 마을 이름을 흙다리, 시장 이름을 토교장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한편 일설에는 구 남면사무소 부근의 길 양쪽에 집이 들어선 모습이 마치 장터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원래 흙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