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001776
한자 節氣
영어음역 Jeolgi
영어의미역 Solar Term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덕묵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 지역에서 절기에 맞는 세시풍속.

[절기별 행사 및 특징]

1. 봄

1) 1월

1월에는 신년 행사가 주를 이룬다. 설에는 떡국을 해서 차례를 지냈다. 집안사람끼리는 세배를 하였으며 성묘를 갔다. 설날 새소리를 들으면 풍년이 들고, 까치소리를 들으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청참이 있었다. 정초에는 윷점을 보는 사람도 있었다. 원일소발이라고 하여 머리카락을 태우는 풍속도 있었는데, 이렇게 하면 여름에 뱀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다.

쥐날에는 콩을 볶아 먹었다. 말날에는 장을 담그는 사람이 있었으며, 귀신 날에는 신발을 실내에 들여 놓고 문 앞에 체를 걸어 놓기도 했다. 토정비결은 마을에 볼 줄 아는 사람이 없었다. 정초에 마을에서 복조리를 판매하는 풍속이 있었으며, 삼재막이와 홍수맥이는 많이 했다. 마을에 장님인 만신이 살았는데, 그 사람이 굿을 많이 했다. 특히 박씨들은 만신을 불러 정초에 굿을 많이 했다. 정초에는 안택고사를 하고 ‘안택경’을 읽는 경우도 많았다. 정초에 집 대문에 엄나무를 걸어 놓는 풍속도 있었으며, ‘적선’이라고 하여 남몰래 선행을 하면 좋다고 하여 그렇게 하는 사람도 있었다.

정초에는 연날리기, 윷놀이, 널뛰기, 팽이치기, 자치기 놀이를 했다. 마을에는 풍물패가 활발하게 활동하여 장고와 징, 북, 괭가리는 물론 호적, 나팔 등이 있었으며 무동도 타고 놀았다. 특히 정초에는 지신밟기를 하여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고사상을 차려 놓고 고사소리를 해주고 걸립을 하였다. 입춘에는 입춘축을, 정초에는 부적을 붙였는데 특히 삼재부적을 많이 붙였다. 정초에는 보리밟기도 많이 했다.

14일 저녁에는 오곡밥을 지어 먹는다. 오곡밥을 먹을 때 물에 말아먹으면 여름에 소낙비를 맞는다는 말이 있으며, 오곡밥을 아홉 번 먹고 나무 아홉 짐을 해야 한다는 말도 있다. 오곡밥을 먹을 때는 여러 가지의 묵은 나물을 반찬으로 먹는다.

대보름에는 보름 밥을 훔쳐 먹는 풍속이 있었고, 이른 아침에 먼저 우물에 가서 물을 길어오는 풍속도 있었다. 또한 보름날에는 개보름쇤다고 하여 개에게는 밥을 주지 않는다. 6·25전쟁 전까지는 보름날 마을 앞 논에서 쥐불놀이를 하면서 ‘굴말[가리봉2동]’과 싸움을 하였다. 정월에는 약밥을 지어 먹는 풍속이 있었는데, 당시에는 가난하여 다른 시기에는 먹지 못했다.

정월 대보름에는 잣을 바늘에 꽂아 식구의 이름을 대면서 불을 붙여 그 불이 일어나는 형태를 보고 그 사람의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잣불켜기를 하였으며, 부럼을 깨물고 귀밝이술을 먹었다. 또한 아침에는 더위팔기를 하였고, 세 갈래 길에 짚으로 제웅을 만들어 가져다 놓았으며, 달이 뜨면 달을 보고 “달님 달님 빕니다.”하면서 비손을 하고 절을 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달집태우기를 하였다. 달맞이는 마을 뒤 야산이나 마을 앞 논에서 하였다. 대보름달이 청명하면 그해 농사가 잘 되고 흐리면 흉년이 든다고 하여 달점을 보았다. 마을에는 냇물이 없었기 때문에 냇가나 다리가 없어 어부섬이나 다리밟기를 하는 풍습은 보지 못했다. 대보름에는 새를 쫓는 풍속이 있었다.

2) 2월

2월 절기에 해당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2월 초하루에는 벌레 예방을 위해 콩을 볶아 먹는다. 또한 나이떡이라고 하여 송편을 빚어 먹는다. 이날 여자들은 남의 집에 일찍 가지 않는다. 보통 1년 중 아무 때라도 여자들이 남의 집에 일찍 가는 것은 싫어하는 것이 관행이다. 2월 초하루에는 노래기 부적을 붙이는 관행이 있으나 이 마을에는 가을이 되면 매년 지붕을 새로 이었기 때문에 노래기가 생길 정도로 심하지는 않았다. 경칩에는 도룡이 알을 먹는 사람도 있었다.

3) 3월

삼월 삼짇날은 별다른 풍속이 기억나지 않는다. 다만 3월 중에 버드나무로 풀피리를 만들어 불었으며, 풀싸움을 하였다. 한식에는 찬밥을 먹는 풍속이 있었으며, 이날 산소에 개사토를 하거나 산소를 손보는 일이 있었다. 곡우에는 볍씨를 논에 뿌린다.

2. 여름

4월의 가장 큰 행사는 음력 4월 8일 부처님 오신 날이다. 사월 초파일에 불교 신자들은 절에 갔다.

5월의 가장 큰 민속 행사는 단오이다. 단오에는 전날 쑥을 수확하여 단옷날 아침에 이슬을 맞게 한 후 훗날 약쑥으로 사용한다. 산모가 있을 때는 산모와 아기를 약쑥 물로 씻기기도 하고, 요강 속에 약쑥을 넣어 산모를 그 위에 앉게 하여 몸을 쬐게 했다. 약쑥으로 뜸을 뜨기도 하고, 들에서 일을 할 때는 약쑥을 피워 놓고 수시로 담뱃불을 그것으로 붙였다. 그 외에도 약쑥은 부싯돌, 모기향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액막이를 위해 대문 앞에 걸기도 하였다. 단오에는 쑥떡을 빚어 먹었으며, 이 무렵에는 익모초 즙을 먹기도 하였다. 단오에는 창포에 머리를 감고 창포 비녀를 꽂기도 하였다. 단오에는 그네를 타는 풍속이 있으나 이 마을의 여건상 그네를 맬 수 있는 마땅한 나무가 없어 그네타기를 할 수는 없었다.

6월에는 유두가 있다. 유두에는 논가에 가서 농제를 지내고 밀전병을 해먹었다. 이 무렵 손톱에 봉숭아물을 들이는 풍속이 있었다.

3. 가을

7월의 칠석에는 전을 부쳐서 먹었으며 칠석맞이를 하였다. 담장 위에 까치밥을 올려놓는 사람도 있었다. 7월 중 김매기가 끝나고 나면 ‘천렵’이라고 하여 물고기를 잡아서 매운탕을 해 먹고 동네잔치를 하였다. 복날에는 보신탕을 먹고 참외나 수박을 먹었다. 7월 중에 벌초를 한다.

8월에는 설날과 함께 민족 최대의 명절로 꼽히는 추석이 있다. 한가위에는 차례를 지내며 송편을 빚어 먹는다. 또한 성묘를 간다.

4. 겨울

시월 중에는 시제를 지낸다. 이 무렵 안택고사도 지내는데, 무당을 불러와 경을 읽고 하는 사람도 있었고 굿을 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때 시루떡을 해서 이웃과 나누어 먹었다. 과거에는 민속신앙이 강해 가정마다 울타리 굴뚝 옆에 독을 두고 그 속에 옷과 쌀을 넣어 모시는 집이 많았다. 부적도 많이 붙였다. 당시에는 마을에 동신당이 없었기 때문에 동네 제사를 지내지는 않았다.

11월 달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었으며, 옹심이로 점을 보기도 하였다.

12월이 되면, 섣달그믐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고 하여 잠을 자지 않았다. 이 마을에서는 이날 밤에 묵은세배를 다니는 풍속은 없었다. 12월에는 날씨가 추워 밤에 참새들이 초가지붕에 많이 모여 있는데, 이때 참새를 잡아먹었다.

5. 기타

음력으로 12달을 계산하면 태양년과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3년에 한 달, 또는 8년에 석 달의 윤달을 넣지 않으면 안 된다. 이처럼 나름의 주기를 가지고 불규칙적으로 찾아오는 윤달에는 수의를 만들고 묘 이장을 하는 풍속이 있었다.

[대촌마을의 세시풍속]

구로 지역의 과거 대촌마을에는 정월에서 연말까지 다양한 세시풍속이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당시 주민들의 생활상을 짐작할 수 있다.

대촌마을의 세시풍속은 구로구 가리봉1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과거 가리봉동 지역은 경기도 시흥군 동면에 속해 있었으며, 현재 가리봉1동에는 ‘대촌’, 가리봉2동에는 ‘굴말’, 가리봉3동에는 ‘택화’라는 자연 마을이 있었다. 택화는 ‘무아래’로 불리기도 했다. 1960년대 후반 구로공단이 생기기 전에 대촌은 100여 가구가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따라서 큰 마을이라고 하여 ‘대촌’이라 불리었다. 대촌마을은 현재 가리봉시장 위쪽의 산비탈에 위치하였으며, 마을 뒤에는 야산이 있었고 앞으로는 논이 있었다. 당시 주민들의 60%는 밀양박씨였으며 그 외 풍양조씨, 제주허씨, 김씨, 정씨, 맹씨 등의 타성이 있었다. 이 마을에는 1925년에 가리봉교회가 들어섰기 때문에 토박이 주민들 중 20% 정도는 일찍부터 기독교인이 되었다.

초창기 가리봉교회에서는 선교사들이 들어와서 문맹 퇴치를 위해 한글을 가르쳤다. 현재 가리봉1동 새마을금고 대표를 맡고 있는 토박이 주민 조신일[남, 70]을 통해 이 마을의 세시풍속을 알아본다. 원래 세시풍속은 남자와 여자 등 여러 사람들을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조사되어야 하나 현재 이 마을에는 토박이 주민이 몇 가구에 불과하며, 그나마 조신일 이외에는 만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미 도시화된 마을을 찾아가 토박이 주민을 만나 그 지역의 세시풍속을 조사한다는 것은 사실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소개하는 내용은 개략적인 소개에 불과함을 밝혀둔다.

[참고문헌]
  • 인터뷰(구로구 가리봉1동 새마을금고 대표 조신일, 남, 70세, 200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