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양주문화대전 > 양주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민속) > 생활 > 의생활
-
경기도 양주 지역민들의 의복 및 이와 관련한 풍속이나 경향. 양주 지역의 경우 서울 지역과 자연적 환경이나 사회적 환경의 지역 차가 심하지 않아 예로부터 의생활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크게 드러나지 않은 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업화로 인한 대중 사회의 성립과 더불어 각종 의복의 대량 생산 체제가 확립된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서양식 의생활이 일반화되면서 지역에 따른 의생활의 차...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전통 의례를 거행할 때 특별히 갖추어 입었던 예복. 의례복은 주로 통과의례(通過儀禮)를 행할 때 입는 옷을 말한다. 사람들은 일생을 통하여 사회적인 지위와 인정을 받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단계들이 있고, 이때는 반드시 특별한 의례를 행하게 되는데 이를 통과의례라고 하며 이때는 평상시 입던 옷이 아닌 특별한 옷을 입는데, 이를 의례복이라고 한다. 통과의례의...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사람들이 평상시에 입는 옷. 2011년 현재 경기도 양주시 지역은 현대의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평상복의 기본적인 형태에 특별한 점은 없다. 따라서 전통적·계절별로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사용했던 옷감과 의복의 구성 등을 살펴보는 것으로써 평상복의 구성과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평상복으로 주로 사용되었던 기본 의복에는 전통적으로 바지·저...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조선 시대 남자 아이의 바지.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남아 바지는 시신이 입고 있던 수의이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남아 바지는 바지통이 나누어져 있어 통변이 쉬우며, 옆트기를...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조선 시대 남자 아이가 착용한 겉옷.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남아 중치막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중치막은 직령 깃에 무 없이...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갓 태어난 아기에게 입히는 옷. 일반적으로 배냇저고리는 아기가 처음 태어났을 때 출생과 동시에 쌀깃[배냇저고리 아래에 옷 대신 둘러싸는 헝겊 조각]에 싸 두었다가 3일 또는 일주일이 지난 뒤 목욕시키고 나서 입히는 옷이다. 그러나 이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배냇저고리는 2001년 11월 15일 경기...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의로 쓰인 베개. 일반적으로 베개는 누울 때 머리에 괴는 도구이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베개는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의 염의 중 하나로 발견되었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베개는 누비로 만들었으며, 죽은 아이의 염의용으로 소매...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마루폭, 큰사폭, 작은사폭, 허리로 구성된 조선 시대의 남자 바지.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사폭 바지를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나 이불을 대신하여 성인 중치막을 사용하였다. 소매가 좁은 중치막을 ‘창옷’이라고 하는데 여름용은 홑옷으로 모시나 사(紗)로 만들었고...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말총, 가죽, 헝겊 등으로 양태 없이 밋밋하게 만든 모자.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소모자를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소...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출토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누벼서 지은 아기의 옷.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아기 누비옷을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아기 누비옷은 발 부분을 싸 주...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조선 시대 여자들이 외출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해 머리에서부터 길게 내려 쓰던 옷.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장옷은 이 미라의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된 염의 의류 중 하나이다. 해평...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에 사용된 철릭의 소매.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철릭 소매를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철릭 소매는 조선 시대 성인용 철릭 소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