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증 오성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2128
한자 新增烏城誌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희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13년 9월연표보기 - 『신증 오성지』 간행
소장처 임노환 자택 - 전라남도 화순읍 삼천리 지도보기
소장처 전남 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91[용봉동 300]
소장처 영남 대학교 도서관 - 경상북도 경산시 대학로 280[대동 214-1]
발견|발굴처 임노환 자택 - 전라남도 화순읍 삼천리
성격 화순 읍지
저자 유정운(柳鼎運)·조기순(曺綺淳) 외
편자 유학(幼學) 유정운(柳鼎運), 최수창(崔遂昌), 임석록(林錫祿), 조창적(曺昌迪)[이상 유사(有司)]|조기순(曺綺淳), 임상남(林相南), 최택(崔鐸), 임노흥(林魯興), 조병우(曺秉禹), 조동수(曺東洙), 유태영(柳台榮), 배건진(裴建鎭)[이상 중간 유사(重刊 有司)]
표제 신증 오성지(新增 烏城誌)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의 읍지를 새로 증보하여 중간한 화순 읍지.

[개설]

『신증 오성지』는 1913년 9월에 화순 읍지의 내용을 새로 증보하여 중간한 화순 읍지로 3권 1책이다. ‘오성(烏城)’은 화순의 고을 이름 가운데 하나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0권 화순현 군명(郡名)조에 처음 나오는 역사 지명이다. 권1은 본조선계(本朝[朝鮮]璿係), 권2는 신증 오성지, 권3은 구읍지 소재 성씨와 인물 초록(舊邑誌所載姓氏與人物抄錄)으로 구성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1913년 9월에 중간한 것이다. 유사(有司)는 유학(幼學) 유정운(柳鼎運)·최수창(崔遂昌)·임석록(林錫祿)·조창적(曺昌迪)이고, 오성지 중간(重刊) 유사는 조기순(曺綺淳)·임상남(林相南)·최택(崔鐸)·임노흥(林魯興)·조병우(曺秉禹)·조동수(曺東洙)·유태영(柳台榮)·배건진(裴建鎭), 정서(正書)는 장창현(張昌鉉)이 각각 담당하였다. 끝에 인출기가 있다. 1992년에는 권2와 권3을 국역하여 『새로 보는 오성지』[강동원 역, 예원]로 간행한 바 있다.

[서지적 상황]

책명은 ‘신증 오성지(新增烏城誌)’, 관련 인물 기록[卷末]은 ‘오성지 중간 유사 조기순 등 9인’, 판 사항은 ‘목 활자본(木活字本)’, 발행 사항은 ‘화순, 간사자 미상(刊寫者未詳), 1913년’이다.

[형태]

형태는 “51장, 사주 단변(四周單邊), 반곽(半廓) 22.3×16.1㎝. 10행 자수 부정(行字數不定) 주쌍행(注雙行), 내향 상 일엽 화문(內向上一葉花紋), 하 흑어미(下黑魚尾) 30.1×19.6㎝”이고, 표지에는 “세 갑인 구월일(歲甲寅九月日), 인출기(印出記)[권말(卷末)] 대정 2년[1913] 구월일(九月日) 중간(重刊), 저지(楮紙)”라 기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3권 1책으로 구성되었다. 권1은 본조선계(本朝璿係)로 조선 왕조 역대 왕의 계보이다. 권2는 건치 연혁(建置沿革), 산천(山川), 공해(公廨), 단묘(壇廟), 학교(學校), 향사우(鄕祠宇), 창고(倉庫), 역원(驛院), 고적(古跡), 사찰(寺刹), 제언(堤堰), 물산(物産), 진공(進貢), 방리(坊里), 전안(田案), 전세(田稅), 대동저치(大同儲置), 균세(均稅), 신증(新贈), 조적(糶糴), 도로(道路), 관직(官職), 군병(軍兵), 관안(官案), 신증(新贈)이다. 권3은 옛 읍지에 실려 있는 성씨와 인물 초록[舊邑誌所載姓氏與人物抄錄] 편이다. 성씨(姓氏), 관증(官贈), 문과(文科), 무과(武科), 음사(蔭仕), 생진(生進), 신증(新增), 재행(才行), 충신(忠臣), 효자(孝子), 열녀(烈女), 풍속(風俗), 유액(儒額), 본조문과(本朝文科), 무과(武科) 급제 인물, 신증(新增), 생진(生進), 음사(蔭仕), 관증(官贈), 충신(忠臣), 효자(孝子), 의열(義烈), 열녀(烈女), 효부(孝婦), 수직 신증(壽職新增), 증직(贈職), 음직(蔭職), 효자 미포 신증(孝子未褒新增), 열녀 미포 신증(烈女未褒新增), 유일(遺逸), 재행(才行), 조선 시대 여지승람 수정년조이다.

성씨와 인물 초록은 두 편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앞 편의 유사(有司)는 유학(幼學) 유정운(柳鼎運)·최수창(崔遂昌)·임석록(林錫祿)·조창적(曺昌迪), 뒷편의 오성지 중간(重刊) 유사는 조기순(曺綺淳)·임상남(林相南)·최택(崔鐸)·임노흥(林魯興)·조병우(曺秉禹)·조동수(曺東洙)·유태영(柳台榮)·배건진(裴建鎭), 정서(正書)는 장창현(張昌鉉)으로 기록되어 있다.

권2의 군명은 잉리아·여빈 등 7개, 산천은 나한산·오성산·대암산 등 산과 고개[峙], 등(嶝) 15개소, 십천 냉천 등 6개소와 차천(車泉) 등이다. 공해는 객관·아사·제은당 등 20개소, 단묘는 사직단·성황당 등 3개소, 학교는 향교·만화루·양사재 3개소, 향교 답(畓)은 82두 7승 사내 답은 39두, 양사재 답은 47두 3승 사내 답은 4두이다. 영당 1개소, 향사우는 오현사·삼충사·오현당 등 3개소, 창고는 사창·대동고·관청고·화약고·빙고 5개소이다. 역원은 가림역, 고적은 학서도, 사찰은 만연사·백운암, 제언은 대정방축·박연방축 등이 나온다. 역대 수령 명단인 관안은 중종조 문범(文範)[1509~1514], 광해조 이인부(李仁傅)[1611. 2.~1616. 1.] 이하 고종조[太上] 최홍준(崔泓俊)[1904. 9.~1907. 1.]까지 모두 132인이 기록되어 있다.

권3은 성씨 18개, 문과 최선복·최사로·최한정 등 28인[신증 8인 포함], 무과 31인[신증 10인], 생진 66인[신증 15인], 음사 10인, 관증 최윤범 등 3인, 충신 17인, 효자 14인, 의열 1인[논개], 열녀 6인, 효부 3인, 수직 신증 62인, 증직 38인, 음직 129인, 효자 미포 신증 45인, 열녀 미포 신증 16인, 유일 4인, 재행 65인을 기록하고 있다. 권3 앞부분의 목록상에는 수직(壽職)과 수추증(壽追贈), 유현(儒賢) 편은 ‘루(漏)’로 기록되어 있지만 뒤의 내용에서는 수직 신증은 기록되어 있다. 목록에서 풍속은 ‘상검소(尙儉素)’, 유액(儒額)은 청금안 유생 30인, 액내 유생 30인, 액외 유생 30인을 기록하고 있다. 끝에 중간 유산 8인과 정사인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증 오성지』는 1913년에 중간한 화순 읍지로 화순 지역 향토 사학 연구에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