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창원시에 사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을 통칭하는 표현. 창원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는 경상도 방언[동남 방언] 중 경남방언에 속하는 지역어의 하나이다. 2010년 7월 1일자로 이전의 창원시·마산시·진해시는 하나의 행정 구역으로 묶여 통합 창원시가 되었다. 통합 창원시 관할 지역을 구한말 행정구역으로 되돌려보면, 창원군·진해군과 가덕도를 제외한 웅천군 전...
-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어떤 행위나 특정한 말을 하지 않도록 하는 언어나 행동. 금기는 인류 모두가 보편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문화 현상으로 문명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사회적·종교적 사정에 따라 그 원인 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세계 도처에 이와 유사한 습속이 남아 있다. 우선 금기[taboo]라는 단어를 분석해 보면, 금기란 ‘금한다[禁]’라는 의미와 ‘꺼린다[忌]’라는 의미가...
-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인간의 행위를 권장하거나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이나 행동. 길조(吉兆)[lucky sign]는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을 주는 전조(前兆)이며, 길조어는 여기에 적합한 말을 붙여 문장으로 표현되어 구전되어 온 말이다. 길조어의 구조는 대개 ‘~하면 좋다’ 또는 ‘~하라’ 등의 뜻을 지닌 권장 형이다. 길조어는 좋은 현상에의...
-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예로부터 전해지는 교훈이나 풍자, 비판 등이 담긴 말. 속담은 오랜 세월 동안 민중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짤막한 언어 표현 형식의 하나이다. 곧,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어 온 민간의 언어 표현 수단으로 그것을 사용하는 민족의 지혜와 경험, 풍자 및 교훈 등의 내용이 담긴 간결한 표현의 말이다. 그 속에는 무궁무진한 민족의...
-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아니하고 빗대어 말하여 알아맞히는 놀이. 수수께끼는 은유를 써서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 표현이다. 사물을 바로 말하지 않고 빗대어서 말을 함으로써 그 사물의 뜻을 알아맞히게 하는 놀이이다. 전국적으로 명명되고 있는 수수께끼는 숨치세끼·씨끼지름·쉬쉬저끔·쉬시게끼·씨끼씨름 등 많은 이름으로 불린다. 이들을 분석하여 보면 대체로 ‘...
-
경상남도 창원에서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 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지역어 표현. 관용구의 종류는 학자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여기에서는 이를 어구(語句) 관용구와 속담, 금기어로 나누어 다룬다. 어구 관용구와 속담은 구성된 단어만으로는 그 뜻을 알기 어렵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전자는 문장 형식이 아닌 반...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가옥 관련 말. 창원 지역의 가옥 어휘를 방과 가구, 건물, 마당, 마을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 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발음을 나타낸 것...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농경 관련 말. 창원 지역의 농경 어휘를 경작·타작·방아 찧기·곡물·채소와 같은 다섯 가지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동물 관련 말. 창원 지역의 동물 어휘를 물에 사는 동물, 곤충과 벌레, 가축, 들짐승과 날짐승 등 네 가지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민속 관련 말. 창원 지역에서 사용한 민속 어휘를 세시 풍속, 농경용품, 생활용품으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식물 관련 말. 창원 지역의 식물 어휘를 꽃과 풀, 나무, 과일과 열매 등 세 가지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육아 관련 말. 창원 지역에서 사용한 육아 관련 어휘를,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발음을 나타낸 것이다. 발음은 필요한...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음식 관련 말. 창원 지역의 음식 어휘를 주식과 부식, 반찬과 별식, 부엌과 그릇으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의복 관련 말. 창원 지역에서 사용한 의복 어휘를 복식과 장식, 바느질과 세탁으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발음...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인체 관련 말. 창원 지역에서 사용한 인체 어휘를 얼굴과 머리, 상체, 하체, 질병과 생리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자연 관련 말. 창원 지역의 자연 어휘를 산과 들, 강과 바다, 시후(時候), 날씨와 방향 등 네 가지로 나누어, 같은 내용을 가리키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른 말이나 같은 형태이지만 내용이 다른 말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
경상남도 창원시에 살았던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친족 관련 말. 창원 지역에서 사용한 친족 어휘를 화자가 부계(父系) 남자일 때, 화자가 부계 여자일 때, 화자가 시집온 여자일 때와 같이 나누어 기술하기로 한다. ‘[ ]’ 왼쪽 표기는 창원지역어를 한글 맞춤법 방식으로 적은 것이고, ‘[ ]’ 안의 표기는 실제 발음을 나타낸 것이다. 발음은 필요한 경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