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8194
한자 國立馬山病院
이칭/별칭 NMTH (National Masan TB Hospital), 마산결핵요양소, 가포요양소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로 215[가포동 512-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세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6년 6월 1일연표보기 - 국립 결핵 요양소로 개소
개칭 시기/일시 1949년 5월 9일 - 국립 결핵 요양소에서 국립 마산 결핵 요양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49년 10월 15일 - 국립 마산 결핵 요양소에서 국립 중앙 결핵 요양소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51년 9월 29일 - 국립 중앙 결핵 요양소에서 마산 결핵 요양소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5년 10월 - 국립 마산 병원 소아병동 신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8년 8월 25일 - 국립 마산 병원 대학생 병동 신축
개칭 시기/일시 1960년 7월 1일 - 마산 결핵 요양소에서 국립 마산 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1970년 2월 5일 - 국립 마산 병원에서 국립 마산 결핵 병원으로 개칭
개칭 시기/일시 2002년 5월 - 국립 마산 결핵 병원에서 국립 마산 병원으로 개칭
최초 설립지 국립 마산 요양소 - 경상남도 마산시 가포리 486번지
현 소재지 국립 마산 병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로 215(가포동)[가포동 512-1]지도보기
성격 공공의료기관
전화 055-246-1141
홈페이지 http://www.nmh.go.kr/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에 있는 공공 의료 기관.

[개설]

국립 마산 병원은 8·15광복 후 사회적으로 만연된 결핵의 퇴치와 결핵 환자의 구호·요양 등과 결핵 의학 및 진료 기술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1946년 6월 1일 설립되었다.

국립 마산 병원은 결핵과 전문의 수련 기관이며,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난치성 결핵 환자를 전문적으로 진료하고, 다제내성 결핵 연구와 결핵 전문가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설립 목적]

국립 마산 병원은 결핵 환자의 진료와 임상 연구, 결핵 합병증의 진료와 연구, 결핵 진료 요원의 교육 훈련, 결핵에 대한 홍보·계몽 활동과 결핵 진료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국립 마산 병원은 국가 결핵 관리 사업에서 결핵 퇴치를 위하여 가장 큰 역할을 했던 3대 국가 기관 중 하나이다. 1941년 일본 상이 군인 요양소로 개설되어 운영되다가 8·15 광복 후인 1946년 6월 1일에 기존 요양소 건물을 보수하고 일부 신축하여 200병상을 갖추어 최초의 ‘국립 결핵 요양소’로 개원하였다.

국립 결핵 요양소는 결핵 환자의 요양 치료를 위해 천혜의 자연 조건인 온난한 기후와, 자외선이 풍부하고 다습한 지역인 마산의 남서쪽 가포리 486번지 부용산 일대 국유지 76만여㎡의 부지에 보건사회부 소속 국립 의료 기관인 국립 마산 요양원으로 설립되었다.

요양소의 명칭은 1949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71호에 따라 ‘국립 마산 결핵 요양소’, 1949년 10월 15일 대통령령 제104호에 따라 ‘국립 중앙 결핵 요양소’, 1951년 9월 29일 대통령령 제537호에 따라 ‘마산 결핵 요양소’, 1960년 7월 1일 국무원령 제22호에 따라 ‘국립 마산 병원’, 1970년 2월 5일 대통령령 제4,575호에 따라 ‘국립 마산 결핵 병원’, 2002년 5월 대통령령 제17,597에 따라 현재의 명칭인 ‘국립 마산 병원’으로 개칭되었다.

국립 마산 병원은 설립 당시 200병상 규모의 요양소로 출발하였으나, 1955년 10월 영국 아동 구호 재단의 지원으로 100병상의 소아 병동을 신축하여 300병상으로 확대하였고, 1958년 8월 25일에는 세계 대학 봉사회의 지원을 받아 결핵에 걸린 대학생들의 무료 요양을 위하여 30병상 규모의 대학생 병동을 신축하여 운영하였다. 1967년에서 1969년까지 3차에 걸친 병상 확충 사업을 통하여 총 병상 수 500병상에 실 병상수 450병상을 갖춘 국내 최대 규모의 병원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100병상 규모의 소아병동이 철거되고, 1985년 11월 28일 난치성 결핵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318병상 규모의 난치성 환자 병동이 신축되어 총 병상 수는 768병상이 되었다. 2006년 9월에는 다제내성 결핵의 임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병원 내에 임상 연구소가 설립되어 임상 연구와 함께 균주 은행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국립 마산 병원의 주된 업무는 결핵 환자의 진료와 임상 연구, 결핵 합병증의 진료와 연구, 결핵 진료 요원의 교육 훈련, 결핵에 대한 홍보·계몽 활동, 국·내외 결핵 연구 협력 사업, 기타 국가 결핵 정책 사업의 추진 등이다.

국립 마산 병원이 수행할 업무의 기본 방향은 결핵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며, 의료 급여 환자 등 사회 취약 계층의 의료 수요에 적극 대처해 나가는데 있다. 국립 마산 병원은 국가 결핵 관리에서 감염 예방을 위한 사업으로 난치성 결핵 및 장기 입원이 필요한 결핵 환자의 치료와 관리, 입원 명령 환자의 우선 입원 치료, 다제내성 결핵 등 임상 연구 수행 및 결핵 전문가 교육 등을 담당하고 있다.

국립 마산 병원은 병원의 미션을 “생명 존중의 정신으로 국민을 결핵으로부터 자유롭게”에 두고, “국제 내성 결핵 연구, 교육 종합 서비스 캠프”를 비전으로 설정하여 결핵 치료 종결을 위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결핵 전문 연구 중심 병원과 결핵전문 의료인 교육을 하고 있다.

[현황]

국립 마산 병원은 보건 복지부 소속 책임 운영 기관으로 2013년 4월 현재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가포동 486번지 50만㎡의 부지에 본관, 별관, 3개 종교시설 등 34개 건물이 있다. 다제내성 결핵 센터, 입원 병동, 균양성 여자 병동, 균음성 여자 병동과 남자 병동 등 5개 병동에 91개 병실, 512병상을 갖추고 있다.

개설된 진료 과목은 결핵과, 흉부 외과, 내과, 영상 의학과, 마취 통증 의학과, 진단 검사 의학과 등 6개이다. 병원장 1명에 흉부 내과, 흉부 외과, 간호과, 약제과, 진단 검사 의학과 등 5개과와 행정 지원을 위하여 서무과를 두고 있다.

국립 마산 병원의 정원은 96명이며, 병원장 외에 5명의 정규직 의사와 7명의 공중 보건 의사로 구성된 의료진과 56명의 간호사들이 결핵 환자의 전문 진료를 담당하고 있고, 다제내성 결핵의 임상 연구를 위해 1개의 임상 연구소를 두고 있다.

2016년도 완공을 목표로 354병상 규모의 격리 병상을 마련하기 위하여 병원 현대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의의와 평가]

국립 마산 병원은 우리나라 국가 결핵 관리에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다제내성 결핵과 광범위 내성 결핵 치료를 위한 최고의 치료 기관이며, 결핵 연구와 국내외 결핵 전문가를 교육하고 수련을 담당하는데 있어서 세계적인 기관이다. 354병상 규모의 병원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는 2016년에는 세계 최고 규모의 감염병 격리 시설 요건을 갖춘 국제 결핵 전문 의료 기관으로 변모될 예정으로서 결핵 치료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국립 마산 병원 역사 속에는 결핵 문학이 내포되어 있다. 과거에 마산 지역에 속하는 국립 마산 결핵 요양소는 결핵 문학의 산실이었고, 시인 이상이 결핵으로 숨진 것을 비롯해, 나도향, 김춘수, 김지하 등 많은 시인들이 결핵을 앓으면서 결핵은 ‘예술인의 직업병’이란 별명을 얻기도 했다.

마산은 결핵 요양의 최적지로 국립 마산 결핵 요양소, 도립 마산 의료원, 국군 병원 등 결핵 관련 의료 기관이 밀집해 있으며, 결핵을 앓던 숱한 문인들이 마산을 찾았다. 이처럼 ‘결핵 병원’으로 널리 알려진 ‘국립 마산 병원’은 한국 문학의 중심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또한 ‘경남 문학’과 ‘마산 문학’을 이야기할 때 이곳 ‘국립 마산 결핵 요양소’를 빼놓을 수는 없는 일이다.

[참고문헌]
  • 『한국 결핵사』(대한 결핵 협회, 1998)
  • 인터뷰(김천태, 국립 마산 병원장, 2013. 4. 25.)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0.03.17 내용 수정(현행화) [의의와 평가] 전염병 격리 시설 → 감염병 격리 시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