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1042 |
---|---|
한자 | 鵝洲縣 |
영어공식명칭 | Ajuyeo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배상현 |
고려 말부터 조선 초 사이 지금의 경상남도 거창 지역에 임시로 들어와 있던 거제현 소속의 속현(屬縣).
아주현은 원래 신라의 거로현(巨老縣)을 경덕왕이 고쳐 부른 이름이다. 바다 가운데 섬 지역인 거제현(巨濟縣)의 관할 아래 있었다. 13세기 내우외환으로 거제현이 거창의 가조현(加祚縣)으로 치소(治所)를 이동하자 함께 거창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가 조선 초 거제현과 함께 거제도로 이속되었다. 현재에도 경상남도 거창군에는 ‘아주(鵝洲)’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권34 지리1 거제군조(巨濟郡條)에 경덕왕이 거로현을 ‘아주현(鵝洲縣)’으로 이름을 고친 사실이 기록되어 있으며, 『고려사(高麗史)』 권57 지리2에는 아주현이 거제현의 속현이라 기록되어 있다. 또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誌)』에서는 아주현을 거제현의 ‘고속현(古屬縣)’으로 분류하고 있어 조선 초 환도(還島)와 더불어 거제현의 직촌(直村)이 되었음을 알려 준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31 거창군 고적조(古跡條)에는 "아주현이 군의 동쪽 10리에 있었다."라고 하여 아주현이 있었던 위치를 알려 준다.
아주현은 원래 신라의 거로현으로 거제도 안에 있었다. 신라 경덕왕이 이름을 아주(鵝洲)로 바꾸고 거제군(巨濟郡)의 관할에 두었다. 고려 시대에도 그대로 아주현으로 불렀다. 이후 원종 대 고려 정부가 해방(海防) 정책을 시행하면서 주현(主縣)인 거제현과 함께 육지인 거창 지역으로 치소(治所)를 옮겨 살게 되었다. 1422년(세종 4) 거제현이 거제도로 돌아가면서 거제현의 직촌(直村)이 되었다.
고려 후기~조선 초 거제현의 치소가 150년 간 거창 지역으로 이동되면서 많은 자취를 남겼다. 아주현은 거제현의 속현으로 오늘날 거창군 남하면 일부 지역에 자리를 잡고 머물렀다. 현재 이곳에는 ‘아주리’라는 지명과 함께 그 자취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