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1067 |
---|---|
한자 | 道坪橋 |
영어공식명칭 | Dopyeong Bridge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유태윤 |
준공 시기/일시 | 2005년![]() |
---|---|
전구간 | 도평교 -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도평교 -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
![]() |
성격 | 교량 |
길이 | 490m |
차선 | 왕복 4차선 |
폭 | 21m |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와 거창읍 동변리를 연결하는 다리.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에서 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에 이르는 총 연장 555.2㎞인 국도 3호선의 한 부분을 잇는 교량이다.
도평교는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와 거창읍 동변리를 연결하는 도로의 교량으로 도평리의 이름을 따서 ‘도평교’라 칭해졌다.
도평교의 길이는 490m이고, 총 폭은 21m이며, 유효 폭은 20m으로 도평리 방향과 동변리 방향의 왕복 4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량의 상부 구조는 강상자형교(STB)이고, 하부 구조는 T형 교각(TP)으로 되어 있으며, 설계 하중은 표준 트럭 하중인 DB-24이다.
남해군을 시작으로 경상남도 서부 내륙과 경상북도 서북부 내륙, 충청북도, 수도권과 서울특별시 그리고 수도권 등 국토 중앙을 남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국도 3호선이 건립되었고, 국도 3호선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2005년에 도평교가 건립되었다.
도평교는 거창읍 동변리와 주상면 도평리를 연결하는 도로의 교량으로 2015년 일일 통행량이 2,551대이다. 거창읍에서 주상면을 거쳐 웅양면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