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0702 |
---|---|
한자 | 居昌 末屹里 松林 古墳群 |
영어공식명칭 | Ancient Tombs Songnim in Malheul-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835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가야 |
집필자 | 임동재 |
조성 시기/일시 | 5~6세기 - 거창 말흘리 송림 고분군 조성 추정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6년 - 거창 말흘리 송림 고분군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지표 조사 실시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6년 - 거창 말흘리 송림 고분군 신라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지표 조사 실시 |
소재지 | 거창 말흘리 송림 고분군 -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835 창촌 마을![]() |
성격 | 고분 |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창촌 마을 일원 구릉에 분포하는 삼국 시대 가야 고분군.
거창 말흘리 송림 고분군(居昌末屹里松林古墳群)은 5~6세기 대에 해당하는 삼국 시대 가야의 고분군으로 추정되며, 정상부의 말흘고성과도 관련성이 있는 분묘 유적으로 추정된다.
거창 말흘리 송림 고분군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835 일원에 위치한다. 고분군이 입지하는 곳은 말흘리 지동 고분군과 ‘모리고들’이라는 들판을 사이에 두고 있는 유적으로 분포 범위는 창촌 마을 뒷산 일대이다. 이 구릉은 오두산(烏頭山)[942m]이 마리 삼거리 쪽으로 뻗어내려 형성된 구릉이며, 남동쪽으로 뻗어 있다.
창원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1996년의 지표 조사와 2006년 신라 대학교 박물관에서 실시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작성을 위한 지표 조사에서 알려진 유적으로, 현재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분군이 위치하는 구릉의 정상부에 다수의 봉토분으로 보이는 흔적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삼국 시대 가야의 봉토분으로 추정되며, 매장 주체부는 돌덧널무덤으로 추정된다.
봉토분의 주변에는 굽다리 접시, 긴 목 항아리, 그릇 받침 등의 조각난 파편들이 흩어져 있다.
고분군이 분포하는 지역은 경작 및 도굴 등으로 대부분 심하게 훼손되었다. 구릉의 정상부에는 다수의 봉토분으로 보이는 흔적들이 보이지만 파괴가 심한 편이다.
거창 말흘리 송림 고분군 5~6세기대 삼국 시대 가야 고분군으로 거창 지역 고분 연구에 중요한 학술 자료이며, 고분군이 분포하는 능선의 정상부에 분포하는 말흘고성과의 관계도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