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083
한자 舞鼓
이칭/별칭 고무(鼓舞),정자(釘子)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무용과 민속극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명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형성 시기/일시 1308년연표보기 - 무고, 영해에서 이혼(李混)에 의해 형성
성격 향약 정재
주요 등장 인물 이혼(李混)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향악 정재.

[개설]

정재(呈才)란 대궐 안의 잔치 때 노래와 춤, 음악이 어우러져 연행되던 종합예술을 말하며, 정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 발달한 향악정재와 중국에서 유입된 당악정재로 나뉜다. 무고는 고려시대 향악정재로 동동(動動)·무애(無㝵)와 함께 가장 오래된 향악정재이다.

무고(舞鼓)는 시중(侍中) 이혼(李混)[1252~1312]이 관제 개혁을 제시하였다가 숙비(淑妃)의 모함으로 희주목사를 거쳐 예주목사(禮州牧使)를 지낼 때 바다에 떠 있는 나무토막[浮査]을 가지고 만든 것이라 한다. 예주(禮州)는 영해의 별칭이다. 이혼은 직접 나무토막으로 북을 만들고, 이에 그치지 않고 춤을 만들어 가르쳤다고 전한다. 영해에서 만들어진 무고가 개성의 궁중으로 유입된 데에는 이혼의 아들 이이가 주도적 역할을 하였을 것이라는 설, 이혼이 영해 생활을 마치고 중앙으로 돌아가 전파하였을 것이라는 설, 영해에서 가르침을 받은 기녀들이 궁중에 선상(選上)될 때 이들에 의해 유입되었을 것이라는 설 등이 있다.

[구성 및 형식]

무고의 구성과 형식은 시대에 따라 변천하였다. 먼저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따르면, 무고전재의 창사는 정읍악[정읍사]이다. 무고 공연 시에는 무대(舞隊)가 악관(樂官)과 여기(女妓)를 이끌고 남쪽에 선다. 악관은 두 줄로 앉는데, 이때 악관 두 사람은 북과 받침대를 전(殿) 가운데 둔다. 여기는 「정읍사(井邑詞)」를 부르고, 향악으로 「정읍사」를 연주하면 여기 두 사람이 나온 후 좌우로 갈라 북의 남쪽에 서서 북쪽을 보고 절한다. 끝나면 꿇어앉아 염수(斂手)하고 춤추기 시작한다. 음악이 한 번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두 여기는 북채를 잡고 일어나서 춤을 춘다. 이때는 북을 가운데 두고 좌우로 나뉘어 한 번 앞으로 나갔다 한 번 뒤로 물러난다. 끝나면 나비가 꽃을 감돌듯이 북의 주위를 돌고, 마주보기도 하고 등지기도 하여 크게 원을 그려 돌며 춤춘다. 절정에 이르면 채로 북을 쳐서 두 용이 여의주를 두고 다투듯이 음악의 절차에 따라 장고와 맞춰 나간다. 춤과 북소리는 점점 고조되다가, 음악이 끝나면 그친다. 음악이 모두 끝나면 여기 두 명은 시작 때처럼 엎드려 절하고 일어나서 물러난다.

다음으로 『시용향악정재도설(時用鄕樂呈才圖說)』에 의하면, 무원은 8인으로 증가되어 전원이 북채를 들고 춤을 추었다고 한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반주 음악은 정읍만기(井邑慢機), 정읍중기(井邑中機), 정읍급기(井邑急機)로 세분화된다. 춤추는 인원은 공연 전에 정하는데, 8인이면 북 8개, 4인이면 북 4개, 2인이면 북 1개로 한다. 음악은 역시 뒤로 갈수록 빨라진다. 정읍만기를 연주할 때는 장고의 북편과 채편을 모두 치는 쌍성(雙聲)과 장고의 북편(鼓聲)을 치는 소리에 맞추어 북을 치고, 정읍중기로 넘어가면 장고의 북편 소리에 맞추어서만 북을 치고, 정읍급기로 가면 1강을 걸러 박을 친다. 조선 후기에는 북이 1개로 고정되었고, 4~16명의 무원들이 사방색의 옷을 입고 춤을 추었으므로 북소리보다는 춤사위가 더 강조되었다.

[내용]

처음에는 노래가 없었을 것이나, 궁중에 유입된 후 「정읍사」가 무고 정재의 창사로 채택되었다. 「정읍사」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 노피곰 도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됴리/ 아으 다디리/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 드욜세라/ 어긔야 어됴리/ 어느다 노코시라/ 어긔야 내 가논 졈그롤셰라/ 어긔야 어됴리/ 아으 다디리"

이후 조선 중종대가 되면 악상 속에 있는 음란한 말이나 부처와 관련된 말을 고치라는 명에 따라, 무고의 창사가 「정읍사」에서 「정읍사」와 음률이 맞는 「오관산(五冠山)」으로 바뀐다. 그러나 「오관산」의 정확한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정조대 이전에는 한동안 창사가 없었다 하고, 정조가 월상계명(月上鷄鳴)이라는 가사를 만들었다고 하나 역시 「오관산」과 마찬가지로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이후 순조 때 효명세자가 순조의 40세 생일과 즉위 30년을 축하하여 열린 진찬 때 무고 악장을 만들었다. 악장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누월위가선(鏤月爲歌扇)[달을 새겨 노래하는 이의 부채 만들고]/ 재운작무의(裁雲作舞衣)[구름을 재단하여 춤옷을 지었도다]/ 인풍화설영(因風回雪影)[바람 따라 눈송이가 빙빙 도는 듯하고]/ 환사연쌍비(還似燕雙飛)[다시금 쌍쌍이 제비가 나는 듯하도다]

[전대(前隊) 한 쌍 병창]

보쟁경경국(寶箏瓊瓊曲)[보쟁은 경경곡을 연주하고]/ 갈고화노강(羯鼓花奴腔)[갈고는 화노의 가락이네]/ 영신가완전(永新歌宛轉)[영신처럼 매끄럽게 구르듯 노래하고]/ 만무일쌍쌍(蠻舞一雙雙)[만무를 한결같이 쌍쌍이 추도다]

[후대(後隊) 한 쌍 병창]"

이 무고 악장은 대한제국 때까지 계속해서 불려졌는데, 무동이 공연하는 경우에는 무고 정재의 창사가 생략되거나 여령이 공연하는 경우 1장만 부를 때도 있었다.

[연행 시기 및 관련 의례]

무고 연행 기록은 조선시대 의궤에서 45차례 나타난다. 무고는 지방에서 ‘고무(鼓舞)’나 ‘정자(釘子)’라고도 했으며, 조선 후기 궁중에서뿐 아니라 지방 관아에서도 인기리에 공연되었다.

[현황]

무고는 일제강점기에 들어 장악원이 교방사-이왕직아악대-이왕직아악부대로 명칭을 바꾸는 중에도 계속해서 전승되었다. 8.15해방 이후에는 국립국악원으로 이어져 전승·보전되고 있으며, 지방에서는 영덕무고예술단에 의해 전승·보전되고 군내외 각종 행사에서 공연된다. 현재에도 국가적 행사나 국립국악원 공연에서 자주 공연된다.

[의의와 평가]

무고는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俗樂)’에 기록되어 있는 동동(動動)·무애(無㝵)와 함께 가장 오래된 향악정재이고, 셋 중 유일하게 춤, 음악, 노랫말이 모두 전해 온다. 조선 후기 연향에서는 가장 인기를 끈 정재 종목이었고, 대한제국기까지 내연(內宴)과 외연(外宴)에서 단절 없이 공연되었다. 『고려사』에서는 무고를 "그 소리가 굉장하고 춤의 변화가 많아서 한 쌍의 나비가 꽃을 에워싸고 돌며 훨훨 춤추는 듯, 두 용이 여의주를 다투며 솟구치는 듯하다. 악부에서 가장 기묘한 춤이다."라고 평가하였으며, 권근은 『양촌선생문집』에서 무고를 "악부(樂部)의 최고 장관으로, 다른 고을에는 없는 것"이라 평하였다. 무고는 궁중정재의 절제된 표현 양식과 엄격한 형식을 갖추었으면서도 동시에 북이라는 무구와 어우러져 장중하고도 역동성 있는 무용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