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1244
한자 孔昌植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범우골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임세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7년연표보기 - 공창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2년 - 공창식 광주 협률사 활동 시작
활동 시기/일시 1925년 - 공창식 광주 협률사 활동 종료
몰년 시기/일시 1936년연표보기 - 공창식 사망
출생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범우골
학교|수학지 광주시 서구 효덕동 구암촌
성격 판소리 명창
성별
대표 경력 광주 협률사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출신의 판소리 명창.

[활동 사항]

공창식(孔昌植)[1887~1936]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범우골에서 태어났다. 16세에 김채만의 문하에 들어가 소리 공부를 시작했는데 타고난 재질과 성음으로 그의 소리는 일취월장했다. 10여 명의 문도 중에서 가장 늦게 공부를 시작했으나, 해가 감에 따라 그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게 되었다.

김채만의 문하에서 3년간의 수련을 마치고 화순군 능주면 범우골로 돌아와 혼자 수련을 하는 시기에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한다.

범우골의 인적 없는 산중에서 아침부터 해가 질 때까지 날마다 독공을 하던 때였다. 1907년 일제의 강압으로 고종이 그의 아들 순종에게 양위하고, 일제의 횡포에 겨레의 분노가 충천하여 전국의 민심이 흉흉한 때였으므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하여 각처에 일제 군병이 설치고 다니는 판국이었다.

공창식은 언제나 다름없이 그날도 산에서 소리를 하고 있는데 달려오는 말굽소리에 깜짝 놀라서 바라보니 일본인 기마병 두 명과 한국인 통역 한 명이 공창식 앞으로 와서 서는 것이었다. "여기서 무얼하고 있기에 소리를 꽥꽥 지르며 누구를 부르고 있는냐?"하고, 일병이 호통 치는 소리를 한국인 통역이 말하는 것이었다. 공창식은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벌벌 떨면서 소리 공부를 한다고 대답하자, 일병과 통역 사이에 몇 마디 말이 오고가더니 일병이 서투른 조선말로 "소리는 나쁜 것이다. 원각사를 폐쇄하고 소리를 못하게 함을 모르는가. 산에서 소리나 빽빽 질러 민심을 소동시키는 소리를 하면 죽인다."하고, 총을 겨누며 위협했다.

공창식은 애걸복걸하여 그 자리를 모면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그는 소반 위에 정화수를 받쳐놓고 선영에 고하기를, "나라가 망하는데 소리는 해서 무얼하겠습니까."하고 그날로 소리를 작파했다. 공창식은 이렇게 세상을 원망하며 시골에 묻혀 살면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 그리고 3년 후인 1910년 8월에 망국의 비보를 듣고 방성통곡했다.

그동안 동문들 중 소리 공부를 열심히 하여 명창이 되었다는 소리를 들은 공창식은 "죽을 때 죽을지라도 하고 싶은 소리나 하고 죽자."하고, 다시 스승이 있는 광주 속골로 올라갔다.

스승인 김채만이 별세한 1911년까지 1년 남짓 재수련을 하고, 이듬해 광주 협률사에 참여하여 점차로 기량을 완숙시켜 나갔다. 그리고 1920년 광주 협률사가 해산되었다가 이듬해 재조직되자 공창식은 1925년까지 명성을 떨쳤다. 그 후 공창식은 후진을 양성하다가 1936년 50세에 타계하였다. 그의 문하에서는 조몽실과 조동선, 2명의 명창이 배출되었다.

공창식은 「심청가」를 출중하게 잘 불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