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600084 |
---|---|
한자 | 人口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화순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경환 |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에 거주하는 주민 또는 집단의 수.
[개설]
인구란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인간 집단을 지칭한다. 집단으로서의 인구는 일정한 공간상의 영역을 점유할 뿐 아니라, 경제·사회·사상 등의 문화를 향유하며 생활 양식을 전개하는 환경 변화의 주체자이다. 따라서 특정 지역의 인구 현상을 파악함으로써 인간 생활과 환경을 이해하고, 미래에 대한 예측도 할 수 있다.
[인구 성장과 변천]
화순군의 총인구를 살펴보면 『세종실록지리지』에 1454년 화순·능주·동복을 합한 인구가 1,667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 1759년 『여지도서』에는 3만 2820명으로 나오며, 1789년 『호구총수』에는 3만 2414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록상 화순군에 가장 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던 때는 1934년으로 『호남지』에 따르면 당시 인구는 16만 571명이었다.
광복과 6·25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인구 증가와 전쟁 여파에 따른 출산 붐으로 1945년부터 1960년대까지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1957년에 11만 9226명이었던 것이 1967년에 와서는 15만 1637명으로 매년 증가되었다. 이는 전국적 현상인 높은 출생률과 더불어 화순 지역 석탄 산업의 중흥[1957~1966]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962년 시작된 경제 개발 정책의 실시와 더불어 시행된 인구 정책에 의해 전통적으로 높았던 출생률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인구 성장률은 둔화되기 시작하고, 특히 전라남도 지역은 이촌 향도 현상의 심화로 인구의 절대 감소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1967년을 정점으로 하여 1980년에는 10만 7397명, 1990년에는 8만 6693명, 2000년에는 7만 8850명, 2011년에는 6만 8985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이촌 향도와 저출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구 감소 문제는 농촌 노동력 부족과 이로 인한 휴·폐경지의 증가, 인구의 노령화, 학교 통폐합에 의한 원거리 통학 문제, 결혼 적령기 여성의 부족과 같은 문제가 이 지역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가구 당 평균 인구 측면을 살펴보면 1991년 3.7명에서 2000년 2.8명, 2006년 2.5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핵가족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구의 공간 분포]
2011년 기준 읍·면·동 인구를 살펴보면 화순읍에 4만 2103[61.0%], 동면에 3,876명[5.6%], 능주면에 3,472명[5.0%]이며, 나머지 10개 면 지역은 전체 인구의 2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와의 접근성과 각종 편의 시설의 밀집으로 인해 도시 지역인 화순읍의 인구 밀도가 높고, 다른 지역은 대부분 인구가 적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일정한 토지 면적을 점유하는 인구수의 비율을 말하는데, 산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인구 밀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인 통계적 인구 밀도는 행정 구역을 단위로 하여 인구를 토지 면적으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인구 밀도를 나타내는데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다.
2010년 기준으로 전국의 인구 밀도가 485.6인/㎢이고, 전라남도의 인구 밀도가 142.2인/㎢인데 반해 화순군은 89.2인/㎢로 낮은 인구 밀도를 나타낸다. 이는 세계 여러 대륙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편이지만, 한국 및 아시아 전체와 비교해 보면 매우 낮은 편이다.
[인구 이동]
화순군의 인구 이동은 2012년 기준 전입 7,179명, 전출 7,713명으로 534명의 인구가 화순군 외부로 순이동했다. 시·도내 전입이 956명, 시·도내 전출이 983명인 데 반해 시·도 간 전입이 4,738명, 시·도 간 전출이 5,245명으로 시·도간 전·출입이 더 활발한 것을 알 수 있다.
[인구 구조의 변화]
1970년대 화순군의 인구 구조는 피라미드형 인구 구조로 전형적인 개발도상국의 유형을 보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높은 출산력으로 장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총 부양비가 높아 경제 성장에 저해를 가져오는 형태였다.
1980년대 화순군의 인구 구조는 생산 연령층의 도시 전출에 의해 그 비중이 매우 낮고 출산력은 인구 억제 정책에 의한 가족계획의 성공으로 크게 낮아졌다. 한편 의료 기술의 발달과 보건 위생의 개선으로 평균 수명이 길어진 반면 사망률이 낮아져 노년 인구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뚜렷해지는 시기로 전형적인 농촌형 인구 구조로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1990년대 또한 생산 연령층 인구의 계속된 도시 전출로 청장년층 인구 비중이 크게 낮아졌고 이로 인해 출산력이 낮아졌으며, 노년층 인구의 상대적 비중이 높아져 노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본격화됨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결혼 연령층의 여성 인구 부족으로 인해 농촌 총각의 결혼 문제와 같은 심각한 사회 문제를 초래했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외국인 신부를 맞이한 다문화 가족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크게 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2000년대의 인구 피라미드 형태는 저출산과 노령화로 종형의 인구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농촌의 노동력 부족 현상이 초래되고 휴·폐경지의 증대, 농촌 경제의 붕괴 및 농촌 지역의 개발 잠재력 저하 문제를 가져왔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