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0816 |
---|---|
한자 | 劉懽 |
영어공식명칭 | Yoo Hwan |
이칭/별칭 | 국로(國老),영계(瀯溪) |
분야 | 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337년![]() |
---|---|
몰년 시기/일시 | 1409년![]() |
추모 시기/일시 | 1803년 - 유환 금계 서원 배향 |
거주|이주지 | 유환 거주지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
거주|이주지 | 유환 거주지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장기리
![]() |
묘소|단소 | 유환 묘소 -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월계리 월현![]() |
사당|배향지 | 금계 서원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 |
성격 | 충신 |
성별 | 남 |
본관 | 거창 |
대표 관직|경력 | 밀직사사 겸 대사헌 |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의 고려 후기 충신.
유환(劉懽)[1337~1409]의 본관은 거창(居昌), 자(字)는 국로(國老), 호(號)는 영계(瀯溪)다. 아버지는 금구 현령(金溝縣令)을 지낸 유흡(劉恰)이며, 어머니는 낭장(郎將) 유신백(兪臣伯)의 딸 기계 유씨(杞溪 兪氏), 할아버지는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를 지낸 유해(劉海), 증조할아버지는 밀직사사(密直司使)를 지낸 유승(劉昇)이다. 유환의 부인은 병조 참판(兵曹 參判)을 지낸 이원달(李元達)의 딸 정부인(貞夫人) 강양 이씨(江陽 李氏)다.
유환은 어릴 때부터 총명하였으며 효성이 깊었다고 한다. 혼인을 한 후에는 장인인 이원달에게 학문을 배웠다. 이원달의 권유로 과거에 응시하여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 후 감찰(監察)을 거쳐 광정대부 밀직사사 사헌부 대사헌(匡靖大夫密直司事司憲府大司憲)에 올랐다. 공민왕(恭愍王)[재위 1351~1374] 연간에 바른 말로 극간(極諫)하며, 정도를 지켰다고 한다. 고려가 망하자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며, 경상도 감음현(感陰縣)[현 경상남도 거창군]의 금원산(金猿山)에 몸을 감추었다. 또한 신계(申溪)[지금의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장기리]에 영사정(永思亭)이라는 정자를 짓고, 그곳에서 옛 임금을 생각하며 고려 신하로서의 도리를 다했다고 한다.
지금의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월계리 월현(月峴)에 묘소가 있다.
1803년 건립된 금계 서원(金溪 書院)에 배향되었다. 금계 서원은 지금의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에 있었던 서원인데, 훼철(毁撤)[헐어서 치워 버림]된 후 다시 지어지지 않았다. 금계 서원에는 유환을 비롯해 이예(李芮)·이원달·정옥견(鄭玉堅)이 함께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