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613
한자 居昌尋牛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
영어공식명칭 Seated Wooden Amitabha Statue at Geochang Simwoosa Temple
이칭/별칭 거창 포교당 불상,심우사 불상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물/불상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하동4길 77[대동리 70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본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640년연표보기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제작
이전 시기/일시 1935년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연수사에서 거창 포교당 심우사로 이전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8월 14일연표보기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2월 21일연표보기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제169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재지정
문화재 해지 일시 2010년 12월 21일연표보기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제1690호로 승격됨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5호 해제
보수|복원 시기/일시 2014년 -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상 개금
현 소장처 거창 포교당 심우사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동리 703 지도보기
원소재지 거창 연수사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40-1 지도보기
복장 유물 소장처 거창 포교당 심우사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동리 703
성격 불상|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재질 목재
크기(높이) 108.3㎝[높이]|71.3㎝[무릎 폭]
소유자 심우사
관리자 심우사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심우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개설]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거창 포교당 심우사 대웅전의 본존 불상으로 1640년(인조 18)에 만든 목조 불상이다. 불상 조성기에 "숭정 13년 경진 5월(崇禎十三年庚辰五月日始役八月己畢·····)"과 "산연수 불상 삼존 봉안우(山演水佛像三尊奉安于)"라고 기록되어 1640년에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덕유산[현 감악산]에 있는 연수사(演水寺)에 봉안되었던 삼존상 가운데 1구이며 청허(淸虛)·법현(法玄)·현승(賢勝)·호윤(浩允) 등의 화원들이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1935년 9월 거창 포교당 심우사 창건 당시 연수사에서 옮겨 와 봉안되었다. 2002년 8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5호로 지정되었다가 문화재청 주관 불교 문화재 일제 조사 후 2010년 12월 21일 보물 제1690호로 지정되었고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5호는 지정 해제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2014년 문화재청 보수 사업으로 불상 개금을 하였다.

[형태]

불상은 몸통보다 머리가 큰 편이며 등은 곧추 세우고 고개는 다소 숙이고 있다. 머리의 나발(螺髮)[부처의 머리카락이 오른쪽으로 꼬불꼬불한 나선형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은 촘촘하고 육계(肉髻)[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상투 모양으로 두드러진 혹 같은 모습]는 따로 나타내지 않았다. 얼굴은 사각형이고 이목구비와 양 볼은 양감 있게 표현되었다. 두 눈 사이에는 백호(白毫)가 있고, 입은 미소를 띠고 있다. 통견(通絹)[불상의 양 어깨를 모두 덮은 양식]의 법의(法衣)는 오른쪽 어깨에 대의(大衣)를 반단식으로 걸치고 옷 주름은 거의 없다. 눈썹이 시작되는 곳부터 솟아 올라 매의 부리처럼 높고 오똑한 코는 조선 시대 17세기 불상들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특징]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아랫배에 표현된 대의 자락이 중간에서 갈라진 모습, 양 무릎에 조각된 세 줄의 평행 옷 주름, 단순하면서도 부드러운 옷자락의 표현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17세기에 유행했던 불상의 특징이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당대 이름난 청허의 작품 가운데 보물 제1635호로 지정된 상주 남장사 목조 아미타여래 삼존 좌상(尙州 南長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보다 5년 빨리 만들어진 불상으로 청허의 불상 양식과 당시 불교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