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0608 |
---|---|
한자 | 居昌江南寺址石造如來立像 |
이칭/별칭 | 강남불,상천리 불상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남불1길 23-55[상천리 683] |
시대 | 고려/고려 전기 |
집필자 | 유성호 |
제작 시기/일시 | 고려 -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 제작 |
---|---|
보수|복원 시기/일시 | 1993년 -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 당간 지주 형태의 장방형 석재 보강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7년 1월 30일![]()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보수|복원 시기/일시 | 2000년~2001년 -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 기단 및 배수로 설치 |
보수|복원 시기/일시 | 2005년~2006년 -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 석불 보수및 보호각 설치 |
현 소장처 |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남불1길 23-55[상천리 683]![]() |
성격 | 불상 |
재질 | 화강석 |
크기(높이) | 365㎝[전체 높이]|270㎝[불상 높이]|150㎝[폭] |
소유자 | 경상남도 거창군 |
관리자 | 경상남도 거창군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강남사지에 있는 고려 시대 석조 여래 입상.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강남불 마을 논 가운데에 있다. 문헌에는 정확히 기록되지 않았으나 강남불 마을에 고려 숙종[12세기] 때까지 강남사가 있었다고 한다.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마을 이름을 따 강남불 또는 상천리 불상이라고도 불린다.
1993년 당간 지주 형태의 장방형 석재를 보강하였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기단 및 배수로를 설치하였다. 또한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석불를 보수하고 보호각을 설치하였다.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2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화강석 판석에 양각으로 새겨져 있다. 전체 높이는 365㎝이고, 불상의 높이는 270㎝이며, 폭은 150㎝이다. 머리는 소발(素髮)[민머리라 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늘어트린 머리카락 형태]이며, 정수리에 육계(肉髻)[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솟아 있다. 얼굴은 양감이 없으며, 상호(相好)[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는 대부분이 마모되어 육안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목에는 세 줄의 삼도(三道)[불상 목에 새겨진 세 개의 주름으로 깨달은 자를 의미]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어깨는 둥글고 가슴은 평면적이다.
양손은 마모로 인해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오른손은 가슴 앞에서 시무외인(施無畏印)[팔을 들고 다섯 손가락을 펴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여 물건을 주는 시늉을 하는 손모양으로 부처가 중생의 두려움을 없애 주기 위하여 나타내는 형상]을 하고 있고, 왼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한 여원인(與願印)[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을 펴서 밖으로 향하여 드리운 손모양으로 모든 중생의 소원을 만족시켜 줌을 보이는 결인]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17㎝의 비교적 얇은 판석에 얕은 부조로 표현되어 불신의 양감이 거의 드러나지 않고 평면적인 모습을 보인다. 한 개의 판석에 부처와 거신 광배(巨身光背)[부처의 전신을 감싸고 있는 광배]을 구비한 원추형 모양의 독립형 불상이다.
거창 강남사지 석조여래입상은 고려 시대 거창 지역 석조 여래 입상의 단면을 살필 수 있는 불교 문화재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