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초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501
한자 芝樵集
영어공식명칭 Jichojip
이칭/별칭 지초 문집(芝樵文集),지초 선생 문집(芝樵先生文集)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구경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825년연표보기~1903년연표보기 - 『지초집』 이용의가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29년경 - 『지초집』 간행 추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지초집』 영인본 간행
소장처 경상 대학교 도서관 문천각 -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 900
소장처 전남 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300
소장처 연세 대학교 학술 정보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
성격 전적
저자 이용의(李鎔義)
간행자 이현우(李賢宇)|이찬도(李贊道)|이종도(李淙道)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반곽(半郭) 20.4×16.0㎝|광곽(匡郭) 32.1×22.0㎝
어미 상하 내향 삼엽 화문 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권수제 지초문집(芝樵文集)
판심제 지초문집(芝樵文集)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 근대 유학자 이용의의 문집.

[저자]

이용의(李鎔義)[1825.6~1903.12.7]의 자는 맹첨(孟瞻), 호는 지초(芝樵), 본관은 하빈(河濱)이다. 할아버지는 이능묵(李能黙)이고, 아버지는 이시창(李時昶)이다. 외할아버지는 서산 정씨(瑞山鄭氏) 정응규(鄭應奎)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기리에서 태어났다. 부인 서산 정씨는 정집(鄭㙫)의 딸이다. 어려서는 문중 숙부인 도은(道隱) 이상모(李尙模)에게 배웠다. 젊어서는 과거 공부를 했으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성리학에 전념하였다. 만년에는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에게 수학하였다. 묘소는 광선리(廣仙里) 손좌(巽坐) 언덕에 있다.

[편찬/간행 경위]

『지초집』이용의의 아들 이현우와 손자 이찬도(李贊道)의 주도로 유고를 수집하고 간행하려고 계획하였다. 1913년 이용의의 족제(族弟) 이경의(李璟義)가 가장(家狀)[조상의 행적에 관한 기록]을 지었고, 이 가장을 가지고 이현우가 1914년에 정재선(鄭載善)에게 행장을 받았다. 이후 이찬도가 1921년 장석영에게 서문을 받아 문집 간행의 주요 사업이 완료되었으나 결국 간행되지 못하였다. 이후 이용의와 한 집안인 이재근(李在根)이 1928년 이중철에게 서문을 요청하여 받았고, 정재성(鄭載星)의 발문이 1929년에 지어진 것으로 보아 문집은 1929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형모(金瀅模)가 이재근의 요청으로 지은 묘갈명에 "공이 이 세상을 떠난 지가 이미 40여 년이 지났다[公之去此世, 已四十有餘年]."라고 한 부분이 있어, 정확한 간행 연도가 분명하지 않다. 이 책을 바탕으로 1995년 경인 문화사에서 영인본을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지초집』은 2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문집이다. 규격은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이 20.4×16.0㎝이고, 광곽(匡郭)[판의 사주를 둘러싼 검은 선]은 32.1×22.0㎝이다. 사주 쌍변(四周雙邊)[지면의 네 둘레를 두 개의 선으로 돌림]이며, 어미는 상하 내향 삼엽 화문 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2개 어미 가운데 위 어미가 아래쪽, 아래 어미가 위쪽을 향하며, 어미 부분에 3개의 화문이 있는 형태]이다. 권수제(卷首題)[본문 앞에 나오는 제목]와 판심제(版心題)[책장의 가운데 접힌 곳인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는 ‘지초문집(芝樵文集)’이다. 각 면은 10행 20자로 되어 있다. 경상 대학교 도서관 문천각, 전남 대학교 도서관, 연세 대학교 학술 정보원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지초집』은 이중철(李中轍)의 서문과 장석영(張錫英)의 서문을 시작으로, 권1에는 시 63제 109수가 실려 있다. 맨 처음에 수록된 「독중용(讀中庸)」은 이용의가 사서 가운데서도 『중용』의 중요성을 밝힌 시이다. 또 스승인 장복추에게 준 시 3수와 만시 8수가 있다.

권2에는 장복추·이승희(李承熙)·곽종석(郭鍾錫) 등에게 보낸 편지 7편, 서(序) 3편, 기(記) 1편, 발(跋) 1편, 제문 6편, 행장 1편이 실려 있다. 서문 가운데 「용천 정사 향음례 서(龍泉精舍鄕飮禮序)」는 1889년 이만윤(李晩胤)이 동계(桐溪) 정온(鄭蘊)을 배향하는 경상남도 거창군의 용천 정사(龍泉精舍)를 중수하고서 지역 사족(士族)들이 향음주례(鄕飮酒禮)[예전에 온 고을의 유생이 모여 향약을 읽고 술을 마시며 잔치하던 일]를 행한 것에 대한 내용이다.

부록에는 이경의가 지은 가장, 정재선이 지은 행장, 김형모가 지은 묘갈명, 정재성이 쓴 발문과 이종도가 쓴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지초집』이용의의 학문과 사상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문집으로, 용천 정사에서 시행한 향음주례에 대해 알 수 있는 주요한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