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암일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499
한자 晩庵逸稿
영어공식명칭 Manam Ilgo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양평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구경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803년연표보기~1876년연표보기 - 『만암일고』 이덕준이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82년연표보기 - 『만암일고』 이병기가 온지사에서 간행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소장처 계명 대학교 동산 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000-2
소장처 경기 대학교 도서관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산94-6
성격 전적
저자 이덕준(李德峻)
간행자 이병기(李炳基)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주쌍행(註雙行)
규격 반곽(半郭) 19.8×15.8㎝|광곽(匡郭) 28.3×18.7㎝
어미 상 이엽 화문 어미(上二葉花紋魚尾)
권수제 만암일고(晩庵逸稿)
판심제 만암일고(晩庵逸稿)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양평리 출신의 조선 후기 문인 이덕준의 문집.

[저자]

이덕준(李德峻)[1803.12.7~1876.4.29]의 자는 문현(文見), 호는 만암(晩庵)이고, 본관은 벽진(碧珍)이다. 할아버지 이정보(李靖普)가 선산(善山)[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양평리로 이거하면서 살기 시작했다. 노파(蘆坡) 이흘(李屹)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이극렬(李克烈)이고, 어머니는 분성 김씨(盆城 金氏) 김하윤(金夏潤)의 딸이다. 부인 광주 이씨(廣州 李氏)는 이이백(李以栢)의 딸이다. 스스로 평생을 문예(文藝)에 종사한 문인이라 밝혔다. 저술로 2권 1책의 『만암일고(晩庵逸稿)』가 있다.

[편찬/간행 경위]

이덕준의 현손 이병기(李炳基)가 유고를 수집하였고, 이덕준의 증손 이우형(李愚亨)이 교감하고 1957년에 서문을 썼다. 그러나 당시에 간행하지 못하고, 1982년에 이병기가 김기언(金淇彦)과 이원엽(李元曄)의 발문을 받아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만암일고』는 2권 1책의 석판본(石版本)으로 된 문집이다. 크기는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은 19.8×15.8㎝이고, 광곽(匡郭)[판의 사주를 둘러싼 검은 선]은 28.3×18.7㎝이다. 사주 쌍변(四周 雙邊)[지면의 네 둘레를 두 개의 선으로 돌림]에 어미는 상 이엽 화문 어미(上二葉花紋魚尾)[위쪽에 화문이 있는 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어미가 있는 형태]이다. 한 면은 10행 20자이고, 주는 두 줄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 계명 대학교 동산 도서관, 경기 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만암일고』이덕준의 증손 이우형의 서문을 시작으로, 권상에 시 37제(題) 91수(首)와 기문이 실려 있다. 기문 「서정기(西征記)」는 1865년 4월 4일부터 같은 해 5월 1일까지 거창 지역 인사 여덟 명과 함께 금강산을 유람한 여정을 기록하였다. 이때 유람하면서 지은 시 「서유제영(西遊題詠)」 19수도 실려 있다. 권하 부록은 신상하(愼尙夏)와 신성하(愼性夏)가 이덕준의 시 「만암 술회(晩庵述懷)」의 운자(韻字)를 차운한 시 2수와 이수덕(李守德)과 이수약(李守約)이 이덕준에게 준 시 2수, 금강산을 함께 유람한 아홉 명의 명단인 「구로 명첩(九老名帖)」이 이어져 있다. 이어 이병기가 지은 유사(遺事), 전봉수(全鳳遂)가 찬한 묘갈명[1960]과 김기언과 이원엽의 발문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만암일고』는 조선 후기 문인 이덕준의 문학과 교유에 대해 알 수 있는 자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