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089
한자 -
영어공식명칭 Gilssam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정헌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전통 시대 부녀자들이 가정에서 베·모시·명주·무명의 직물을 짜는 모든 과정.

[개설]

길쌈은 베 길쌈·모시 길쌈·명주 길쌈·무명 길쌈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하는데 이 중 베는 직물의 일반적 명칭으로 쓰이기도 해서 삼베·모시 베·명주 베·무명베라고도 한다. 베·모시·명주의 길쌈은 삼한 시대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무명 길쌈은 고려 말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 시대에도 길쌈이 성행했으며, 나라에서도 적극 장려했음을 알 수 있다. 통일 신라 때에는 길쌈이 더욱 발달되어 대량의 각종 직물을 특산물로 당나라에 보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전통 시대 부녀자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길쌈은 개화와 더불어 중국·영국·일본의 직물이 수입되자 의류 소비의 형태가 서서히 바뀌기 시작하여 이제는 길쌈하는 지역이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풍속]

거창 지역에서는 길쌈과 관련된 풍속들도 많이 채록된다. 새해 첫 쥐날에 길쌈이나 바느질을 하면 이를 쥐가 쏜다고 여겨 삼갔으며, 대보름날에 여성은 삼베 아홉 광주리를, 남성은 나무 아홉 짐을 해야 좋다는 믿음은 전국에서 채록되는 풍속이다. 또 칠월 백중날 마당에 줄을 매고 삶은 삼단을 걸어 두면 귀신들이 돌아다니지 못하여 해를 끼치지 못한다고 여기기도 했다. 누에를 치는 농가에서는 이를 하늘이 내린 벌레라 하여 정성껏 돌보기도 하였다.

[작업 과정]

거창 지역의 대표적인 옷감인 무명과 마직, 견직류들의 재배·수확·방적·제직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무명의 경우는 ① 재배와 수확 ② 씨 앗기 ③ 솜 타기 ④ 고치 말이 ⑤ 실잣기 ⑥ 뽑기와 날기 등의 순서로 고된 일의 연속이었다. 이후로도 ⑧ 매기 ⑨ 꾸리 감기 ⑩ 짜기 등의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완성된다.

반면 마직물(麻織物)의 경우 ① 대마의 파종 ② 껍질 벗기기 ③ 삼 째기 ④ 삼 삼기 ⑤ 베 날기와 매기 ⑥ 베 짜기의 순서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시의 경우도 마직류와 비슷한 과정으로 진행되지만 ① 재배와 수확 ② 껍질 벗기기 ③ 모시 째기 ④ 모시 삶기 ⑤ 모시 날기와 매기 ⑥ 꾸리 감기 ⑦ 모시 짜기의 순서를 따른다. 또 견직물의 작업 순서는 ① 누에치기 ② 명주실 켜기 ③ 명주실 내리기와 날기 ④ 명주 매기와 짜기의 과정을 거친다.

[길쌈 노래]

길쌈을 하면서 일의 단조로움과 고통을 덜고 자신들의 설움을 표현하며 달래기 위해 부르는 노래를 ‘길쌈 노래’라고 한다. 이 가운데 「물레 노래」·「베틀가」·「산 삼기 노래」 따위는 조선 시대 민요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부인네들은 노동의 고달픔을 길쌈 노랫가락에 실었는데, 이는 거창 지역에서도 성행하였다. 길쌈의 경우에는 행동 통일이나 큰 힘이 필요하지 않고 단순한 동작이 길게 반복되므로, 사설은 일과는 거의 관련이 없이 복잡하고 다양한 내용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길쌈 노래는 길쌈 때뿐만 아니라 밭맬 때나 불땔 때, 기타 집안일을 할 때에도 불리게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