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국포문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515
한자 菊圃文集
영어공식명칭 Gukpo munjip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구경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863년연표보기~1943년연표보기 - 『국포문집』 이교엽이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67년연표보기 - 『국포문집』 이종연이 간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5년 - 『국포문집』 영인본 간행
소장처 경상 대학교 도서관 -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 900
소장처 국립 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소장처 계명 대학교 동산 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000-2
성격 전적
저자 이교엽(李敎曄)
간행자 이종연(李鍾連)
권책 2권 1책
행자 11행 24자
규격 반곽(半郭) 21.3×14.4㎝|광곽(匡廓) 29.2×19.4㎝
어미 상 이엽 화문 어미(上二葉花紋魚尾)
권수제 국포문집(菊圃文集)
판심제 국포문집(菊圃文集)

[정의]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출신 유학자 이교엽의 문집.

[저자]

이교엽(李敎曄)[1863.11.21~1943.1.17]의 자는 정중(正中), 호는 국포(菊圃), 본관은 성산(星山)이다. 할아버지는 이수복(李守馥)이며, 아버지는 이병흠(李炳欽)이다. 모친 팔계 정씨(八溪鄭氏)는 정팔직(鄭八稷)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龍山里)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는 백부 초수공(樵叟公)에게 배우면서 기대를 받았고, 34세에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다전(茶田)의 여재(如齋)에 있는 곽종석(郭鍾錫)을 찾아가 수학하였다. 뒤에 곽종석에게 배운 내용으로 후진을 가르쳤다. 구재(苟齋) 정재성(鄭載星) 등과 교유하였다.

부인 연안 이씨(延安李氏)는 이조근(李祖根)의 딸이다. 묘소는 거창군 가북면 몽석리(夢石里) 가칠등(加七嶝) 해좌(亥坐)에 있다. 저술로 2권 1책의 『국포문집(菊圃文集)』이 있다.

[편찬/간행 경위]

이교엽의 아들 이종연(李鍾連)이 주도하여 유고를 수집하고, 최훈교(崔薰敎)에게 행장, 김황(金榥)에게 묘갈명, 이기원(李基元)에게 서문을 받아 1965년에 간행하였다. 이를 저본으로 1995년 경인 문화사에서 영인본을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국포문집』은 2권 1책의 석판본(石版本)으로, 규격은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이 21.3×14.4㎝이고, 광곽(匡廓)은 29.2×9.4㎝[판의 사주를 둘러싼 검은 선]이다. 사주 쌍변(四周 雙邊)[지면의 네 둘레를 두 개의 선으로 돌림]에 어미는 상 이엽 화문 어미(上二葉花紋魚尾)[위쪽에 화문이 있는 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어미가 있는 형태]이다. 권수제(卷首題)[본문 앞에 나오는 제목]와 판심제(版心題)[책장의 가운데 접힌 곳인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는 ‘국포문집(菊圃文集)’이다. 각 면은 11행 24자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 경상 대학교 도서관, 계명 대학교 동산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국포문집』은 이기원의 서문을 시작으로, 권1에는 시 305제가 실려 있다. 여기에는 유학자의 면모가 보이는 철리시(哲理詩)는 물론, 거창 지역 등의 자연에 대해 노래한 경물시와 교유한 인물들과 수창한 시 등이 수록되어 있다. 「희작 팔도시(戱作八道詩)」는 조선 8도에 대한 특징을 노래한 것이다.

권2에는 사(詞) 4편, 부(賦) 2편, 곽종석 등 14명에게 보낸 편지, 잡저 3편, 기(記) 1편, 서사(書事) 2편, 축문 2편, 제문 6편이 실려 있다. 이 가운데 「증와성부(憎蛙聲賦)」와 「애황조부(愛黃鳥賦)」는 개구리와 꾀꼬리의 소리를 두고 각각 미워하거나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 노래한 것이다. 「상면우곽선생(上俛宇郭先生)」은 곽종석에게 리(理)와 기(氣)에 대해 질문한 것이다. 「국포설(菊圃說)」은 자신의 호에 대한 설명으로, 국화를 기르는 것은 도를 배우고 심성을 기르는 방법과 합치하기 때문이라는 내용이다. 「유산기(遊山記)」는 1911년에 거창의 양각산(兩角山)과 신선대(神仙臺) 등을 유람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부록 상에는 이교엽이 61세 생일에 지은 시 「육일생조자제(六一生朝自題)」에 대해 정재성이 차운한 시와 정영호(鄭永鎬) 등 33인이 지은 만시가 실려 있고, 부록 하에는 행장과 묘갈명이 실려 있다. 이종연의 발문이 책 끝에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국포집』은 이교엽의 교유 관계 및 학문과 문학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