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촌 언어와 민촌 언어의 공존, 영덕의 방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331
한자 班村言語-民村言語-共存盈德-方言
영어공식명칭 Dialect, Yeongdeok Language, Panch’on (Noble Class Village) Dialect, Commoner Dialect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유정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반촌 언어와 민촌 언어가 공존하는 영덕의 언어 이야기.

[개설]

통상적 의미에서 방언은 한 언어의 분화체이다. 본래 한 언어였으나 어떠한 이유로 인해 말이 서로 달라져 여러 방언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것들 사이의 언어 차가 매우 커져 서로 다른 언어로 분화되기도 한다.

언어와 방언을 상호 의사소통 여부로 구분하는 일이 어려운 이유는 인접하고 있는 방언들이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지리·사회적으로 단절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접하여 있으면서 점진적인 언어 차를 보이는 방언들의 연속을 ‘방언 연속체(Dialect continuum)’라 부른다. 이러한 방언 연속체에서, 인접한 두 방언은 뚜렷한 차이를 드러내지 않지만 양쪽 끝에 위치한 두 방언은 매우 큰 차이를 드러내게 된다. 혹은 한 지역 내 언어섬을 이루고 있는 경우도 그러하다. 경우에 따라 다른 언어들 심지어 상이한 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이 아주 오랜 기간 서로 인접해 있음으로써 그것들이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 연속체를 이루기도 한다.

우리는 화자의 사회적 범주가 달라 차이를 드러내는 언어 변종에 대해서도 ‘방언’이란 표현을 쓴다. ‘계급 방언’, ‘계층 방언’ 할 때의 방언이 바로 그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한국어에서 대표적인 예가 바로 반촌 언어와 민촌 언어이다. 양반의 후예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여 형성된 반촌은 민촌과 말이 다르다. 대개 양자 사이에는 친족 명칭이나 호칭어 등 어느 특정 어휘 체계에서만 상위를 보이지만, 그 차이가 한두 단어에 국한하지 않고 어느 정도 구조적일 때에는 이를 ‘민촌어’와 구별하여 ‘반촌어’라 부른다. 그러나 현대 사회의 다변화 속에서 언어의 변화는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으며, 집성촌의 정체성을 강조하며 변화에 순응하지 않는 반촌가의 언어 현상도 자연스럽게 민촌어와 공존하며 그 차이를 좁혀 가고 있다.

[반촌어와 민촌어의 차이]

1970~1980년대의 일부 보고들에 따르면, 반촌어와 민촌어는 친족 명칭, 경어법, 서법 등의 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대 이상의 직계존속을 가리키는 ‘큰-’[반촌]과 ‘할-’[민촌], 친동기 중의 장(長)을 가리키는 ‘맏-’[반촌]과 ‘큰/맏-’[민촌] 등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할아버지/할머니’에 대해 큰아배/큰어매[반촌]와 ‘할부지/할매’[민촌], ‘큰아버지/큰어머니’에 대해 ‘맏아배/맏어매’[반촌]와 ‘큰아부지/맏엄니’[민촌]로 표현된다.

둘째, 부계(父系)의 모든 여자 존속에 대한 ‘하게’체 말투[반촌]와 ‘해라’체 말투[민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할머니, 장에 가세요?’에 대해 ‘큰어매, 자아 가는가?’[반촌]와 “할매, 자아 가나?”[민촌] 등이다.

셋째, 청자 존대의 의문 어미 ‘-니껴’[반촌]와 ‘-니꺼’[민촌] 등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아침 잡수셨습니까?’에 대해 “아침 자셌니껴?”[반촌]와 “아침 자셌니꺼?”[민촌]로 표현된다.

지금은 이러한 차이가 거의 사라져 버렸다. 즉, 과거 반촌어와 민촌어라고 사용되었던 말들은 그 의식도 퇴색되었다. 그러나 광복 직후까지도 이웃의 소위 반촌 사람들의 말과 행동을 애써 받아들이려는 노력이 현저하였다. 민촌어를 배우기 위해 특유의 용어나 어법을 물어 보면 애써 언급을 피하여, 그런 말은 과거에 있었던 ‘천한’ 말로 인식되어 왔다.

그렇다면 영덕 지역에서는 이처럼 집성촌을 이루고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언어적 특징이 어떤지 어휘적·문법적·음운적 특징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어휘적 특징]

영덕 지역 반촌 언어의 가장 특징은 어휘에 있다. 어휘적 특징은 친족어에서 잘 나타나며, 그것은 다음과 같다. 화자가 부계의 남자인 경우 '괴시리 반촌 친족 명칭/영양남씨[괴시1리]/안동권씨[괴시2리]/타성[괴시1, 2, 3리]'은 '큰할배=큰할매/할배=할매/할배=할매, 증조할배=증조할매/증조부=증조모'로, '할배=할매/큰할배=큰할매, 큰할아버지=큰할매/큰할배=큰할매/큰할아버지/큰할머니', '아지매=새아재/아지매=새아재, 고모=새아재/아지매=새아재, 고모=새아재, ○○가신 아지매=○○가 새아재/작은고모=작은고모부' 등으로 표현된다.

지리적으로, 괴시리 마을에 살고 있는 영양남씨안동권씨는 다소의 거리를 두고 있다. 반면 타성으로 정리된 성씨들은 영양남씨안동권씨와 바로 한두 집 이웃하거나, 적어도 영양남씨안동권씨가 가지는 거리감보다는 작은 곳에 자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성촌을 이루는 두 성씨는 같은 언어를 쓰는 반면, 타성은 다른 언어를 쓰고 있다. 화자가 부계의 여자인 경우인 경우 '괴시리 반촌 친족 명칭/영양남씨[괴시1리]/안동권씨[괴시2리]/타성[괴시1, 2, 3리]'은 '큰할배=큰할매/할배=할매/증조할배=증조할매/증조할아버지=증조할머니', '할배=할매/큰할배=큰할매, 큰할아버지=큰할매/큰할배=큰할매/할아버지=할머니', '아지매=새아재/아지매=새아재, 고모=새아재/아지매=새아재, 고모=새아재, ○○가신 아지매=○○가 새아재/고모=고모부', '오라배=[새]형님/오라배=형님, 오라배=새히/큰오라배=큰형님/오빠=형님' 등으로 표현된다. 영양남씨안동권씨의 언어 사용이 타성과 다르게 나타남은 화자가 부계의 남자인 경우와 다르지 않다. 다만 영양남씨안동권씨의 경우 타성에 비해 한자어 명칭을 더 즐겨 쓰는 것이 차이이다.

[문법적 특징]

문법적 특징으로는 문종결어미 ‘-[시]니껴’와 ‘-[시]는교’가 표준어 ‘-ㅂ니까’에 해당하는 존대를 나타내는 의문형 어미이다. 나이 든 노년이나 사회적인 신분이 높은 경우의 대상에게 주로 사용하는 말로, 이 지역에서는 이 어미가 성씨를 구분하는 하나의 언어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영양남씨안동권씨의 의문형어미 ‘-ㅂ니까’의 쓰임은 반드시 ‘-[시]니껴’이고, 이에 비해 타성들은 한결같이 ‘-[시]는교’를 쓴다. 이는 매우 엄격한 규칙처럼 보이며, 바로 윗집 아랫집인 경우라도 이러한 언어 차이가 있다. 반촌어의 경우 "아니껴? 그기 돌쩌귀라 하니껴?"로, 민촌어의 경우 "밥그륵이 맞는교? 눈:이 안 좋으이께네. 똑바로 보이지 아내"로 표현된다.

[음운적 특징]

음운적 특징으로 단모음의 경우 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는 10모음 체계를 이룬다. 이는 모음 ‘ㅟ’와 ‘ㅚ’가 모두 단모음 [y], [ø]으로 발음되는 것과 ‘ㅔ’와 ‘ㅐ’는 [e], [ɛ]로 ‘ㅡ’와 ‘ㅓ’는 [ɨ], [ə]로 각각의 제 음가를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모음들은 경상북도 영덕 지역 반촌 언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ㅟ’와 ‘ㅚ’는 모두 이중모음 [wi], [we]로 발음된다. 영양남씨안동권씨의 발음은 단모음 ‘ㅟ’와 ‘ㅚ’가 본래 가지고 있는 원순성을 그대로 간직한 반면, 타성의 경우는 약화된 원순성이나 변이된 새로운 단모음으로 변화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안동권씨가 영양남씨에 비해 더욱 보수적인 언어 성향을 가지고 있다. ‘ㅔ’와 ‘ㅐ’는 여러 지역 방언에서 두 음가에 대한 구별이 쉽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덕 지역 반촌 언어의 경우 괴시리 60대 이상의 화자들은 ‘ㅔ’와 ‘ㅐ’에 대한 음소적 대립을 가지나 50대 이하의 세대에서는 음소적 대립을 가지지 않는다.

‘ㅡ’와 ‘ㅓ’는 노년층과 장년층의 경우 각각의 음가인 ‘ㅡ[ɨ]’와 ‘ㅓ[ə]’로 음소적 대립 관계를 가진다. 괴시리 마을의 30대 이하의 화자와 어촌 마을인 대진리의 모든 화자의 단모음 ‘ㅡ’와 ‘ㅓ’의 발음이 ‘ㅓ[Ǝ/ɜ]’와 같이 중화된다.

구개음화의 경우 ‘시골말’ 또는 ‘촌스러운 말’이라고 한다. 이는 구개음이 아닌 자음들이 ‘ㅣ’나 혹은 활음 ‘j’의 영향으로 구개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의 하나이며, 때로는 배우지 못한 사람 취급을 받기도 한다. 영덕 지역 반촌 언어의 경우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영양남씨안동권씨는 구개음화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같은 지역 내에 있더라도 타성의 사람들은 이 언어 현상이 몹시 자연스럽다. 안동권씨 한 제보자는 ‘기름’을 묻는 질문에 우리 쪽은 ‘기름’이라고 하지만 저쪽에서는 ‘지름’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언어 판단은 영양남씨에게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움라우트의 경우, 영덕 지역 반촌 언어에서는 움라우트 실현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집성촌을 이루는 영양남씨안동권씨의 경우 움라우트를 실현하지만, 타성의 경우에는 움라우트가 실현되지 않는다. 즉, 영양남씨안동권씨는 형태소 내부에서 일어나는 움라우트 현상이 전혀 실현되지 않지만, 형태소 경계에서는 ‘법+이’가 ‘벱이’와 같이 실현된다. 반면 타성의 경우 형태소 내부와 형태소 경계에 걸쳐 두루 움라우트를 실현한다. 즉 ‘학교’가 ‘핵교’, ‘치마’가 ‘치매’, ‘사람+이’가 ‘사램이’로 실현된다. 그러나 타성이더라도 완벽하게 움라우트를 실현하기보다는 일부 화자들이 움라우트와 비움라우트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경음화는 평음이 음성적으로 무기 긴장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노년층에서 젊은 층으로 올수록 그 경향이 뚜렷해진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인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나타난다. 반촌 언어의 경우 영양남씨안동권씨의 경음화 실현에 큰 차이를 보인다. 반촌 언어의 특성상 타성의 언어와 크게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타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찰음 ‘ㅅ’을 제외한 모든 폐쇄음에서 높은 경음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ㅈ’의 경우에도 경음화 현상이 뚜렷하다.

[영덕 방언의 전망]

이상으로 영덕 지역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반촌 언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만큼 타성들과의 언어 차이가 상당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집성촌을 이루는 성씨들은 그들의 선대부터 사용해 오던 반촌의 언어적 특징을 가진 친족어를 지속적으로 이어 쓰고 있는 반면, 타성들은 대부분 현대 표준어 화자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언어 차이는 종결어미 ‘-[시]니껴/는교’의 사용이나 구개음화, 움라우트 등과 같은 언어 현상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어미 ‘-[시]니껴’나 ‘-[시]는교’는 한 언어공동체 속에서 반촌 언어와 타성의 언어를 구분 짓게 하는 매우 정확한 언어 도구로 쓰이고 있었다. 또한 단모음과 경음화 현상처럼 반촌이라는 사회적인 언어 변수가 크게 작용하지 않은 언어 현상도 있다.

언어는 어느 한 틀 속에 고정되어 있는 불변의 것이 아니라, 시대와 지역, 사회적인 요건 등에 따라 끊임없이 변한다. 이러한 사회의 다변화 속에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반촌어도, 변화의 물결을 피해갈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다. 역사적으로 양반 제도가 이미 오래전에 폐지되었고, 그 전통 또한 급격히 잦아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양반 사회의 언어 문화를 살펴보는 것은 시대적으로 매우 중요한 관점이다. 또한 여러 가지 다양한 사회·문화적인 영향으로 지역 언어의 본질이 간직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사례이다.

다변화는 현대 사회 속에서 여전히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는 한 지역 내의 언어 공동체들은 자신들이 양반가의 자손이라는 신분을 지키기 위해 언어를 수단으로 가지려는 경향이 있다. 집성촌의 언어 공동체 입장에서 보면, 일반적인 언어가 아닌, 자신들의 언어에 대한 강한 집착이 어찌 보면 당연한 현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