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777 |
---|---|
한자 | 朴義烈 |
영어공식명칭 | Park Uiyeol |
이칭/별칭 | 하산,박세진,박하산 |
분야 | 역사/근현대,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권대웅 |
출생 시기/일시 | 1884년 1월 22일 - 박의열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912년 - 박의열, 서간도 망명 |
활동 시기/일시 | 1914년 - 박의열, 남흥학교 설립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박의열, 한족회 참여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박의열, 대한통의부 통화검찰감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23년 - 박의열, 대한통의부 통화총감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24년 - 박의열, 동원학교 설립 |
몰년 시기/일시 | 1931년 1월 7일 - 박의열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997년 - 애국지사함양박공의연의열의훈사적비 건립 |
출생지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258 |
거주|이주지 | 중국 지린성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대한통의부 통화총감 |
[정의]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영덕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박의열(朴義烈)[1884~1931]의 본관은 함양(咸陽), 호는 하산(河山), 이명은 박세진(朴世鎭)·박하산(朴河山)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리 258에서 아버지 박주병(朴周秉)과 어머니 무안박씨(務安朴氏) 사이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박의열의 형은 박의연(朴義然)[1880~1943], 아우는 박의훈(朴義熏)[1895~1983]이다. 당숙 박주근(朴周根)과 평해황씨(平海黃氏)에게 출계하였다.
[활동 사항]
박의열은 일찍이 향촌에서 유학을 배웠다. 대한제국기 형 박의연과 함께 신돌석(申乭石)이 이끄는 영릉의진에 참여하였다. 1912년에 박의열은 박의연과 함께 서간도 퉁화현[通化縣]으로 망명하였다. 1914년 퉁화현 하서구(下西溝)에서 남흥학교(南興學校)를 설립하였다. 1919년 한족회(韓族會) 퉁화 지방 천가장(千家長)을 역임하는 등 한국 교민의 생활 안정과 독립운동기지 건설을 위해 노력하였다. 1922년 8월 통합 독립군 세력인 대한통의부 제1회 중앙 의회에서 통화총관소(通化總管所) 통화검찰감(通化檢察監)에 임명되었다. 1923년 대한통의부 통화총감(通化總監) 이기완(李基宛)의 지휘로 소대장 및 참사(參事)를 맡아 일본 영사관을 습격하여 무기와 탄약을 탈취하기 위한 모의를 하였다.
1924년 중국 지린성[吉林省] 아청현(阿城縣) 주위안창(聚源昶)에서 동원학교(東源學校)를 설립하고 교장이 되어 민족교육에 주력하였으며, 1925년 남만주의 통합 독립운동 단체인 정의부 부교(副校) 및 지방조직책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 북만주 빈장현[濱江縣] 8구(八區)에서 빈장정민소[濱江精米所]와 주허현[珠河縣] 하동(河東) 오길밀하(烏吉密河)에서 400여 일경(日耕)의 농장을 경영하면서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31년 1월 7일 주허현(朱虛縣)[지금의 상지현(尙志縣)] 오길밀하(烏吉密河)라는 곳에서 공산주의자 조명(趙明)에 의해 피살되었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1997년 영해 함양박씨 종친회에서 박의열의 행적을 기리고자 원모재(遠慕齋) 앞에 ‘애국지사함양박공의연의열의훈사적비(愛國志士咸陽朴公義然義烈義熏事績碑)[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420 소재]’를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