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500544 |
---|---|
한자 | 嶺南邑誌盈德縣寧海府邑誌 |
이칭/별칭 | 영덕현읍지,영해부읍지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이재두 |
편찬 시기/일시 | 1895년 - 『영남읍지』 「영덕현·영해부읍지」 편찬 |
---|---|
소장처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성격 | 지리서 |
편자 | 영덕현|영해도호부 |
권책 | 34책[『영남읍지』] |
행자 | 20행 20자 |
규격 | 18.1×28.6㎝ |
권수제 | 개국오백사년정월일영덕현읍지(開國五百四年正月日盈德縣邑誌)[「영덕현읍지」] |
[정의]
[개설]
1895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실시된 지방제도 개편을 앞두고 편찬한 영덕현(盈德縣)과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의 읍지로, 『영남읍지(嶺南邑誌)』에 수록되어 있다.
[저자]
1894년(고종 31) 11월에서 1895년 1월에 이르기까지 영덕현령과 영해도호부사가 주도하여 각각 편찬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영남읍지』는 1894년 11월에서 1895년 1월에 걸쳐 제작된 경상도(慶尙道) 66개 고을의 읍지(邑誌)를 합철한 것으로, 정부의 읍지상송령(邑誌上送令)에 의해 편찬되었다. 당시 정부는 각도에 각 고을의 읍지 편찬을 지시하였으며, 영덕현과 영해도호부도 읍지를 제작하여 경상감영에 제출하였다. 정부는 이때 수합된 전국의 읍지를 바탕으로 1895~1896년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였다.
[형태/서지]
1895년 수집한 경상도의 『영남읍지』, 『영남영지』, 『영남감영사례』 등 대부분의 읍지는 ‘의정부(議政府)’라고 명기된 붉은색 인찰판(印札板)에 필사하였으나, 이 두 읍지는 의정부 인찰판 대신 붉은색 인찰정간지(印札井間紙)를 사용하였다. 「영덕현읍지」의 경우 ‘개국오백사년정월일영덕현읍지(開國五百四年正月日盈德縣邑誌)’라는 권수제가 있어서 1895년 1월에 편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덕현읍지」는 21장으로 『영남읍지』 제33책에 예안현·영양현·봉화현과 합철되어 있고, 「영해부읍지」는 53장으로 『영남읍지』 제24책에 청송부·진보현·영천군(榮川郡)[영주]과 합철되어 있다. 행자수는 20행 20자, 규격은 가로 18.1㎝, 세로 28.6㎝이며, 판심제는 없다.
[구성/내용]
「영덕읍지」 항목은 호구, 방곡리수(坊曲里數), 강역, 공해성지(公廨城池), 산천, 관애영치(關阨嶺峙), 포구(浦口), 장시, 제언, 교량, 역원, 봉수, 사찰, 고적, 토산, 인물, 군기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도는 없다. 원호는 3,839호이고, 관애영치 편에서 관애는 ‘무(無)’, 영치는 임물령(林勿嶺), 진보는 ‘무(無)’로 기재되어 있다 포구 편에는 현남 20리에 있는 강구(江口)를 수록하였고, 진도(津渡)는 ‘무(無)’라고 하였다. 부기(附記)한 읍사례(邑事例)는 지방재정 실태를 상세히 파악한 것으로 호방색(戶房色), 예방색, 병방색, 형방, 공방색, 승발(承發), 민고색(民庫色), 도서원(都書員), 대동색, 전변(錢邊), 전세색, 창색(倉色), 의생(宜生), 관청색, 장청(將廳), 별포청(別砲廳)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끝에는 작은 글씨로 ‘통훈대부 행 영덕현령 겸 안동진관 병마절제도위 조(通訓大夫行盈德縣令兼安東鎭管兵馬節制都尉趙)’가 기재되어 있는데, 당시 영덕현령은 1894년에 부임한 조현식(趙賢植)이다.
「영해부읍지」에도 지도는 없으며, 읍지와 읍 사례 모두 권수제가 없다. 항목은 전형적인 『경상도읍지』 유형으로 건치 연혁을 시작으로 비판(碑板)까지 수록되어 있다. 호구 편의 원호는 2,503호이며, 환적 편은 1889년에 영해도호부사로 부임한 이교영(李敎英)까지 기재하였다. 읍 사례에는 다양한 항목을 개설하여 지방 재정 상황을 알 수 있는 구체적인 수치를 기재해 놓았는데, 병방(兵房) 편에는 이두(吏讀)를 두드러지게 사용하였다. 호적색(戶籍色)에는 읍지보다 2호가 적은 2,501호로 기재되어 있으며, 승호(僧戶)는 13호로 나타난다.
[의의와 평가]
『영남읍지』는 1890년대 영덕·영해 지역의 사회적·경제적 상황을 망라해 놓은 읍지이다. 특히 부기된 ‘읍사례’는 당시 고을의 재정 상황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