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석풀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1231
한자 帝釋-
영어공식명칭 Jeseokpuri(Folk Song)
영어음역 Jeseokpuri(Folk Song)
영어공식명칭 Jeseokpuri(Folk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경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2년 - 「제석풀이」 『순천시사』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7년 - 「제석풀이」 『순천시사』2-문화·예술편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8년 - 「제석풀이」 『씻김굿무가』에 수록
성격 무가
가창자/시연자 박경자|김수정

[정의]

전라남도 순천에서 씻김굿 중의 한 절차인 제석굿에서 불리는 서사무가.

[개설]

제석신의 근본을 풀어주는 무가다. 제석신은 가정의 번창과 자손의 수복(壽福), 재수(財數)를 관장하는 신이다.

[채록/수집 상황]

순천의 「제석풀이」는 1992년 발행된 『순천시사』에 필사본 자료 1편이 수록되었으며, 동일 자료가 1997년 발행된 『순천시사』2-문화·예술편에 재수록되었다. 1998년 발행된 『씻김굿무가』에 박경자, 김수정 등이 실제 굿판에서 부른 창본 자료 3편이, 박경자, 박영순 소장 필사본 자료 2편이 수록돼 있다.

[구성 및 형식]

순천의 「제석풀이」의 서사단락은 9개로 나눠볼 수 있다.

① 중이 딸아기가 인물이 곱다는 소문을 듣고 구경하러 온다. ② 중이 딸아기 집에 도착하여 신통력으로 잠긴 문을 연다. ③ 중이 시주를 요청하고 딸아기는 시주를 준다. ④ 중이 딸아기의 손목을 잡는다. ⑤ 중이 딸아기에게 잉태를 예언하고 아이 이름을 지어주고 사라진다. ⑥ 딸아기의 가족들이 귀가하여 잉태 사실을 알게 된다. ⑦ 딸아기가 집에서 추방된다. ⑧ 딸아기가 중을 찾아 떠난다. ⑨ 중은 딸아기를 만나 중노릇을 집어치우고 세속살림을 준비한다.

이와 같은 「제석풀이」의 서사단락은 ‘중과 딸아기의 결합’[①~⑤단락], ‘딸아기의 잉태로 인한 추방’[⑥~⑦단락], ‘중과 딸아기의 재회’[⑧~⑨단락]로 이루어져 있다. 중과 딸아기가 만나 이별하고 다시 상봉하는 과정에서 「제석풀이」의 신화적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내용]

제석굿에서 「제석풀이」를 하는 것은 제석신의 근본과 내력을 풀어줌으로써 신의 역할을 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제석풀이」를 통해 즐겁게 놀려진 제석은 서사무가 속의 제석이 아닌 인간의 축원을 이루어주는 제석 또는 중으로 등장한다. 중의 역할을 무녀가 극적으로 연행하는데, 무녀는 장삼과 고깔, 염주로 분장하고 중 역할을 한다. 중으로 꾸민 무녀는 「시주받기」와 「염불」 등의 무가를 부르거나 「도량경」, 「명당경」 등의 경문을 외우면서 특별한 능력을 보이고자 한다. 그리고는 제석굿의 본격적인 축원 대목에서는 명당을 잡아 집을 짓고, 노적(露積)[수북이 쌓인 곡식]과 업, 세간, 벼슬, 하님[여자 종들이 서로 높여 부르던 말], 별감 등을 청해 들이는 무가를 부르면서 복덕[타고난 복과 후한 마음.]을 축원한다.

[현황]

순천의 「제석풀이」는 박경자 창본, 김수정 창본, 박경자 필사본 등이 전승된다. 이본에 따라 조금씩 다른 부분도 있지만, 서사구조는 비슷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