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600494
한자 松廣寺 佛祖殿 佛畵
영어공식명칭 Bulhwa Painting in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영어음역 Bulhwa Painting in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영어공식명칭 Bulhwa Painting in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분야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모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25년연표보기 - 송광사 불조전 불화 제작
현 소장처 송광사성보박물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원소재지 송광사 불조전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지도보기
성격 불화
서체/기법 견본채색
소유자 순천 송광사
관리자 순천 송광사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송광사 불조전(현 보관처( 송광사성보박물관)에 봉안된 조선 후기의 불화.

[형태 및 구성]

송광사 불조전은 1633년(인조 11)에 건립되었고 높은 돌 기단 위에 북향하고 있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이다. 중앙에 삼신불 3구를 모시고 좌우와 측면에 53불을 1684년(숙종 10)에 조성하여 봉안하였다. 송광사 불조전에는 53불회도 6폭과 칠불도 1폭이 조성되어 봉안되어 있고, 5불회도 1폭은 소재를 알 수 없다. 신라 진평왕 때 53불회도를 그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만 현존하는 작품은 모두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서, 선암사 불조전 53불회도[1702], 송광사 불조전 53불회도[1725], 관룡사 약사전 53불회도 및 봉황사(鳳凰寺) 대웅전 53불도 등이 있다. 관룡사와 봉황사의 53불회도는 벽화로 조성되어 있다.

송광사 불조전 불화는 삼베 바탕에 채색한 불화로 중앙에 삼신불과 오방불 등 7불을 그린 주불도 1폭, 53불을 9위불 2폭, 13위불 2폭에 나누어서 그리고 끝의 4불식과 과거 비바시불(過去毘婆尸佛) 또는 미륵불(彌勒佛)을 그린 5위불 2폭의 7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처의 명호를 신광에 적고 있어서 『불설관약왕약상이보살경(佛說觀藥王藥上二菩薩經)』에 등장하는 53불의 명호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주불도는 아래에 법신·보신·화신의 삼신불, 위에 동방 아촉불·남방 보생불·서방 아미타불·북방 불공성취불의 사방불을 그렸다. 53불 중에는 34번째 불인 일월광불이 빠져 총 61불로 이루어져 있다. 부처의 수인, 옷 주름, 법의의 형태, 채색 등에서 변화를 주고 있으며, 부처의 수가 같은 화폭끼리는 수인과 옷 주름, 법의의 형태 등이 모두 같아서 동일본을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채색을 다르게 하여 변화를 주었다.

[특징]

송광사 불조전 불화는 적색, 하엽, 녹색을 주조색으로 삼았으며 안료에 백색을 가미하여 중간 색조를 띤다. 연꽃 대좌[부처나 보살 등이 앉는 연꽃의 모양으로 조각한 자리], 채운, 법의의 색 조합에서 적색과 갈색, 노랑과 갈색 등 유사 계열의 색을 활용하되 밝고 어두운 명도의 차등으로 변화를 주었다. 단조로운 화면에 먹선, 황선, 녹색 안료로 윤곽선을 그어 입체감을 부여한 방식이 눈에 띈다. 기본 윤곽은 먹으로 나타냈으나 눈썹에는 먹선 위로 다시 녹색선을 긋거나 법의의 경우 먹선 바깥으로 금색의 의습선(衣褶線)[옷의 주름이나 늘어진 모양을 표현하는 필선]을 더하는 방식으로 화면에 변화를 부여하였다.

[의의와 평가]

송광사 불조전 불화는 각 부처의 명호를 상호에 적고 있어 53불회도가 『불설관약왕약상이보살경』에 등장하는 53불을 묘사한 그림이라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삼신불·오방여래를 중심에 놓고 53불을 조성하고, 과거칠불 중 하나인 비바시불과 당래 미륵불을 마지막에 배치하여 삼겁천불사상과 화엄 사상이 함께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