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476 |
---|---|
한자 | 金石文 |
영어공식명칭 | Inscription |
영어의미역 | Inscription |
영어공식명칭 | Inscription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장모창 |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에 돌이나 금속의 재료에 새겨서 전해지는 석문(石文)과 금문(金文).
[개설]
순천 지역의 금석문은 크게 석문과 금문으로 나눌 수 있다. 석문은 고승들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 사찰의 역사를 기록한 사적비,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 행적을 새겨서 후손들이 세운 공적비 등이 있다. 금문은 주로 동종이나, 향로 등에 새겨져 있다.
[순천 지역의 석문]
1. 탑비
순천 지역에 건립된 최초 탑비는 1213년(고종 원년) 송광사보조국사비이다. 그러나 송광사보조국사비는 마모가 심하여 1678년(숙종 4) 송광사 부도암 부도전에 다시 건립되었다. 이후 1314년(충숙왕 원년) 송광사 원감국사비가 세워졌는데, 송광사 원감국사비 또한 마모가 심하여 1701년(숙종 27) 재건립하였다.
조선 전기 탑비는 순천 지역에 전해지지 않으며, 조선 후기에는 1766년(영조 42) 백암(栢庵) 성총(性聰)[1631~1700]의 비가 송광사 부도암 부도전에 건립되었고, 1782년(정조 6) 선암사 서부도전에 상월(霜月) 새봉(璽封)[1687~1767]의 비가 건립되었으며, 묵암(默庵) 최눌(最訥)[1717~1790]의 비가 1897년(고종 34) 송광사 부도암 부도전에 세워졌다.
근대에 와서는 순천 송광사 비전에 부휴(浮休) 선수(善修)[1543~1615] 비를 비롯하여 11기의 비가 건립되었으며, 순천 선암사에는 서부도전에 침명(枕溟) 한성(翰醒)[1801~1876] 비를 비롯하여 5기의 비가 세워졌다.
2. 사적비
사적비는 총 3기로 1678년 송광사 부도암 부도전에 건립된 송광사사원사적비(松廣寺祠院事蹟碑) 건립을 시작으로 1707년(숙종 33) 선암사중수비가 선암사 무전 뒤편에 건립되고, 같은 장소에 선암사사적비가 1919년에 세워졌다.
3. 공적비
공적비는 순천시 전역에 많이 남아 있다. 특히 순천향교 14기, 구 승주군청 7기, 낙안향교 12기, 순천 낙안읍성 3기 등 향교나 관공서에 무리를 이루어 남아 있다. 대표적인 공적비는 순천팔마비로 승평부사 최석의 청렴한 정신을 기리기 위해 고려시대인 1365년에 최초 건립되었고, 이후 정유재란으로 파손되어 1617년 다시 건립하였다. 이 외에도 순천 지역에서 귀양살이하던 김굉필(金宏弼)[1454~1504]과 조위(曺偉)[1454~1503]를 추모하여 1565년(명종 20) 옥계서원(玉溪書院)에 세운 순천임청대비, 정조 때 전라좌도수군절도사였던 6대손 이동선이 망북정에 얽힌 조상의 충절을 기념하고자 세운 순천망북정유지비 등이 남아 있다.
4. 기타 비석
기타 비석으로는 1713년(숙종 39년)에 세워진 선암사 승선교비(昇仙橋碑)가 주목된다. 선암사 승선교비는 중수비지만 초창과 중수에 관한 내용이 함께 기록되어 있다. 사찰이나 향교 앞에 말에서 내려 걸어가라는 하마비(下馬碑)도 순천 송광사, 순천 선암사, 순천향교, 낙안향교 등에 남아 있다.
[순천 지역의 금문]
순천 지역 금문은 대부분 동종에 새겨져 있는데, 모두 조선 후기에 조성되었다. 시기가 가장 앞선 작품은 1687년에 조성된 선암사 순치 14년명 동종(仙巖寺順治十四年銘銅鐘)이다. 이 외에도 선암사 강희 39년명동종(仙巖寺康熙三十九年銘銅鐘)[1700], 선암사 건륭 2년명동종(仙巖寺乾隆二年銘銅鐘)[1737], 향림사 건륭 11년명동종(香林寺乾隆十一年銘銅鐘)[1748], 송광사 건륭 20년명동종(松廣寺乾隆二十年銘銅鐘)[1755], 송광사 천자암 건륭을사명동종(松廣寺天子庵乾隆乙巳銘銅鐘)[1785], 선암사 가경 8년명동종(仙巖寺嘉慶八年銘銅鐘)[1803] 등이 남아 있다. 이들 동종에는 조성하면서 관련된 인물이나, 시주자, 주종장 등이 새겨져 있어 주종 당시의 종교, 사회, 경제 등 사회제반사를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외에도 선암사 건륭 55년명금구(仙巖寺乾隆五十五年銘金鼓)[1790], 선암사 숭정6년명향완(仙巖寺崇禎六年銘香垸)[1633], 송광사 강희 21년명향완(松廣寺康熙二十一年銘香垸)[1682] 등에도 명문이 남아 있어 불교 공예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순천 지역의 금석문은 순천 지역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비석, 동종, 향완, 금고 등의 명문들은 각각의 유물들의 조성 시기와 이와 관련된 인명과 장인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미술사연구에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