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금이 타령」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981
영어공식명칭 jinggemi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홍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형성 시기/일시 미상
채록 시기/일시 1980년 2월 27일 - 「징금이 타령」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 마을에서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80년 5월 24일 - 「징금이 타령」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동편 마을에서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 「징금이 타령」, 『한국 구비 문학 대계』에 수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 「징금이 타령」, 『민요와 한국인의 삶』1에 수록
채록지 「징금이 타령」 채록지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동편 마을 지도보기
채록지 「징금이 타령」 채록지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 마을 지도보기
성격 유희적 성격의 문답요
토리 경토리
출현음 솔라도레미
기능 구분 유희요|문답요
형식 구분 대화체 형식
박자 구조 3소박 3박자
가창자/시연자 김정임[가창자]|주필득[가창자]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전승되는 빚을 진 사람과 빚을 받을 사람이 주고받는 문답요.

[개설]

「징금이 타령」은 유희적 성격의 문답요로 빚을 진 사람과 빚을 받을 사람이 주고받는 대화체 형식을 띤다. 빚쟁이 역할을 하는 사람과 빚을 준 사람으로 역할을 나누어 놀이하는 것처럼 두 사람이 마주 보고 서서 연극적 동작을 하며 노래를 부른다. 익살맞은 표정과 동작이 보는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는 이 노래의 향유층은 주로 여자들이었다. 외설적이면서 적나라한 노랫말을 통해 가진 자와 착취 계층을 조롱하고 풍자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징금이 타령」은 1980년 5월 24일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동편 마을에서 김정임[여, 당시 72세], 1980년 2월 27일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 개화 마을에서 주필득[여, 당시 76세]으로부터 채록하였다. 이는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1981), 『민요와 한국인의 삶』1(문창사, 2007) 등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빚을 진 사람과 빚을 받으려는 사람이 주고받는 대화체 형식이다.

[내용]

「징금이 타령」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내 머리를 비어서/ 달비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을 내 갚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 주마 내 눈썹을 빼여서/ 붓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을 내 갚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 주마 내 귀를 비어서/ 생핀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내 눈을 빼어서/ 고디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내 코를 비어서/ 종지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야이놈아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씨를 빼어서/ 날나리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이를 빼어서/ 박씨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젖을 비어서/ 빈계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배를 비어서/ 구시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창사를 빼여서/ 서답줄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 갚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다리를 비어서/ 흙손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붕알을 비어서/ 저울추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주마/ 야이요놈의 징거마 내 돈 석 냥 내라/ 니 돈 석 냥 내주마 내 자지를 비어서/ 떡가래전으로 팔아도 니 돈 석 냥 내주마

-가창자 김정임[여, 당시 72세]

「징금이 타령」

에라 여봐라 징금아/ 에라 여봐라 징금아/ 저놈의 머리는비다가 행금통으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눈씹은 빼다가 세붓으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눈은 빼다가 골배전으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키는 비다가 유잣다이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입은 비다가 방송국으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팔은 비다가 곰배팔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젖은 비다가 연자통으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배는 비다가 구시통으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창시는 빼다가 빨랫줄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저놈의 다리는 비다가 장채다리로 팔았시마/ 다문 석 냥 내 하지

-가창자 주필득[여, 당시 76세]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대응 속에 내재해 있는 풍자와 해학적 정서를 담고 있다.

[현황]

빚진 사람과 빚 받을 사람의 관계를 우스꽝스럽고 익살스럽게 표현한 이 노래는 유희적 공연 형태로 불렸다. 지금은 채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경상남도 무형 문화재 거창 전수관를 통해 공연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억압받고 핍박을 당하는 자들의 한을 금전적 채무라는 매개를 통해 풍자적으로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 이 노래의 의의가 있다. 극단적이고 외설적인 언어적 표현이 여타의 민요와 구분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