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행상 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708
한자 行喪 -
영어공식명칭 a funeral's song
이칭/별칭 「상여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권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1년 - 「행상 노래」 추교범으로부터 채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1년 - 「행상 노래」『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수록
채록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가창권역 전국
성격 민요|의식요
기능 구분 장례 의식요
가창자/시연자 추교범[남, 1928년 생]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서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개설]

「행상 노래」는 행상(行喪)[상여]을 메고 장지(葬地)까지 가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를 「상여 노래」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을 장지까지 인도하는 의식에서 부른 노래이므로 망자의 영혼을 달래고 가족을 위로하기 위해 인생의 허무함을 나타내는 가사가 주를 이룬다.

[채록/수집 상황]

1981년 달성군에서 발행한 『내 고장 전통 가꾸기』에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81년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서 추교범[남, 당시 53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자유로운 형식의 노랫말을 가지고 있으며, 의식요의 기본 요소인 조흥구가 작품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어와웅 어와웅 어와웅 어와능차 어와웅' 등의 조흥구로 노래를 시작하여 인생의 허무함을 서술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내용]

① 이제 가면 언제 오나 어와능차 어와웅/ 어와웅 어와웅 어와웅 어와능차 어와웅/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어와능차 어와웅/ [중략] 염라 같은 이 험한 길 어와능차 어와웅/ 어와웅 어와웅 어와웅 어와능차 어와웅/ 내가 간들 아주 가나 어와능차 어와웅

② 염라대왕 싫다마는 어와능차 어와웅/ 어와웅 어와웅 어와웅 어와능차 어와웅/ 산이다 올라가자 어와시웅 쳐다보니 만학천봉 어와시옹/ 내려보니 기암절벽 어와시옹 올라가니 명당이라 어와시옹

③ 인생 홍안 늙어지면 어와시옹/ 구만천리 찾아간다 어와시옹 [중략]/ 고생하고 산도궁에 어와시옹 천하영봉 맞아 찼다 어와시옹/ 잘도 찾아 이 자리에 어와시옹

[현황]

「행상 노래」와 같은 장례 의식요는 이제 예전처럼 상여를 메고 출상하지 않고 화장을 하거나 운구차를 이용하는 등 장례 문화의 변화로 그 전승이 단절되어 접하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달성군의 「행상 노래」는 지역적인 특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고, 전국에서 불렸던 「상여 소리」의 보편적인 내용이 노랫말을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