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줏단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571
한자 神-
이칭/별칭 시줏단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경호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 지역의 각 가정에서 개별적으로 모시는 신체의 하나.

[개설]

신줏단지는 조상의 신령을 모셔 놓은 신체(神體)이다. 이를 '시줏단지'라고도 한다. 보통 장손의 집안에서 오지항아리에 조상의 이름을 써넣어 안방의 시렁 위에 모셔 두고 위한다. 신줏단지는 신주(神主)와 단지의 합성어인데, 신주는 조상신을 의미하고, 단지는 조상신을 상징하는 신의 모습을 뜻한다. 신줏단지는 곡식을 넣은 단지와 바가지, 주머니 모양, 위패를 봉안한 상자, 감실(龕室) 형태 등으로 나타난다. 달성 지역의 신줏단지는 주머니 모양인데, 보통 안방 시렁 위에 모신다.

[절차]

신줏단지는 안방 벽이나 안방 출입구에 걸어 두고 속에는 곡식을 넣어 둔다. 벼를 수확한 후에는 벼를, 보리를 수확한 뒤에는 보리를 각각 넣어 둔다. 10월 상달에는 보리를 들어내고 쌀을 넣고, 7월 백중에는 쌀을 들어내고 보리를 넣어 둔다. 들어낸 벼나 보리는 떡이나 밥을 해서 가족끼리만 먹는다. 신줏단지에는 단오, 유두일, 백중, 추석, 상달 안택일, 동지 등에 시절 음식을 차려 놓고 고사를 지낸다. 새마을 운동 이후 소위 미신이라 하여 많이 사라졌지만 전통 사회 성원들에 의해 지금껏 전승되고 있는 가정도 많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신줏단지 안에다 쌀, 보리 등의 곡식을 가득 채우고 가정의 안녕과 복을 빈다. 집안의 화복을 이루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고 믿기에 개인이 신줏단지를 정성껏 모시고 있다. 신줏단지의 쌀은 매년 가을마다 수확한 햅쌀로 갈아주고, 묵은 쌀로는 밥을 지어 식구들끼리만 나누어 먹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