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수현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488
한자 壽峴集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한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709년연표보기 - 『수현집』 간행
성격 고도서|시문집
저자 석지형(石之珩)
간행자 석규서(石奎瑞)
권책 2권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32.0㎝[세로]|21.2㎝[가로]
어미 내향 이엽 화문 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수현집(壽峴集)
판심제 수현집(壽峴集)

[정의]

조선 후기 달성 출신의 문신인 석지형의 시문집.

[저자]

석지형(石之珩)[1610~?]의 본관은 화원(花園), 자는 숙진(叔珍), 호는 수현(壽峴)이다. 1633년 진사가 되고 이듬해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뒤에 형조 좌랑이 되었다. 횡성 현감으로 재직 중 김해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와 오랫동안 강화부 교수(江華府敎授)를 지냈다. 1653년(효종 4) 시사(時事)를 소론(疏論)하고 『주역(周易)』의 내용을 확대 해석한 『오행귀감(五行龜鑑)』을 왕에게 바쳐 『역경(易經)』·『심경(心經)』과 호피(虎皮)를 하사받았다. 현종 때 개성부 교수(開城府敎授)를 지냈다. 저서로는『수현집(壽峴集)』 2권,『남한 일기(南漢日記)』 4권 등이 있다.

[편찬/간행 경위]

『수현집』석지형의 아들인 석규서(石奎瑞)가 가장(家藏) 초고를 바탕으로 수집 편찬하였는데, 물력의 부족으로 바로 간행되지 못하였다. 간행 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은 정협(鄭悏)이다. 석지형과의 인연은 없으나 석규서의 집에 들렀다가 석지형의 유고(遺稿)를 보고 흠모하여 간행에 필요한 물자를 보내주어 1709년(숙종 35)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두경(鄭斗卿), 허목(許穆), 김성호(金性豪)의 서문과 권말에 김성호(金性豪)의 발문이 실려 있다.

[형태/서지]

목활자본 2권 2책으로 되어 있다. 판식은 사주 단변(四周單邊)으로 계선(界線)이 있으며, 내향 이엽 화문 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세로 32.0㎝, 가로 21.2㎝, 반곽은 세로 23.0㎝, 가로 17.2㎝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모두 '수현집(壽峴集)'이다.

[구성/내용]

권1, 권2에 시 126수, 부(賦) 7편, 계(啓) 1편, 잡저(雜著) 3편, 상량문(上樑文) 1편, 계수부(稽首賦) 1편, 소(疏) 2편, 오위귀감(五位龜鑑) 2편, 기(記)·비문(碑文)·서(書)·서(序)·묘지명·설(說)·가장(家狀)·묘갈명(墓碣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일상생활의 감흥과 근심 등 소소한 감정을 읊은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중에서도 「고열행(苦熱行)」은 가뭄으로 고통 받는 백성들의 참상과 이를 해결해 주지 못하는 자신의 심정이 애절하게 드러나 있다. 또한 「화성(火城)」은 불로 이루어진 성을 가상으로 설정하여 위정자가 조심하여 피해를 입지 않아야 함을 우의적으로 읊은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수현집』석지형의 학문과 사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