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달성의 역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0382
한자 達城- 驛制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유기선

[정의]

조선 시대 달성 지역의 역제.

[개설]

조선은 건국 초기 고려의 역제(驛制)를 답습하였으나 역(驛)의 관리 체제 개혁, 역원(驛員)의 보충, 역로(驛路)의 보수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완성으로 새로운 조선의 역제를 확립하였다. 역을 관할하는 최고 기관은 병조(兵曹)였으며, 지방의 각 도(道)에는 찰방(察訪)과 역승(驛丞)을 파견하여 도내(道內)의 역 업무를 관찰하게 하였다.

[조선 시대 달성의 역]

『경국대전』에 나타난 경상북도 지방 역의 편성 가운데 대구와 현풍 지역의 역은 9개 정도이다. 청도(淸道)의 성현역(省峴驛)·유천역(楡川驛)·오서역(鰲西驛)·매전역(買田驛)·서지역(西芝驛), 대구의 범어역(凡於驛)·설화역(舌化驛)·유산역(幽山驛), 현풍의 쌍산역(雙山驛) 등으로 이들 역은 모두 성현도 찰방(省峴道察訪)의 관할 아래에 있었다. 이 가운데 범어역은 대구의 중심 역으로 대구부(大邱府)의 관사에서 동으로 9리[3.53㎞]에 위치하였다. 범어역의 동쪽 25리[9.82㎞]에 경산의 압량역(押梁驛)이 있고 남쪽 55리[21.6㎞]에는 청도의 오서역이, 서남으로 30리[11.78㎞]에 화원현(花園縣)의 설화역이, 북으로 27리[10.6㎞]에는 팔거현(八莒縣)의 고평역(高平驛)이, 그리고 서쪽으로 37리[14.53㎞]에 하빈현(河濱縣)의 금천역(琴川驛)이 있어 범어역과 5방(方)으로 통하고 있었다. 쌍산역은 현풍현의 북쪽 5리[1.96㎞]에 위치하여 낙동강 연안의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하였다.

한편, 이들 역에는 그 운영을 위한 마필(馬匹)·역전(驛田)·마전(馬田) 등이 지급되었으며, 19세기에 편찬된 『현풍현 읍지(玄風縣邑誌)』의 읍 사례(邑事例)와 대구부 사례(大丘府事例)의 역도조(驛道條) 등을 통해 그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