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자이천승혼등부강정」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441
한자 自伊川乘昏登浮江亭
영어공식명칭 Go Up To Boogangjeong At Dusk And Recite A Poem
이칭/별칭 「이천에서 출발하여 해 질 녘 부강정에 오르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달성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3년 - 「자이천승혼등부강정」 저자 손처눌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자이천승혼등부강정」 저자 손처눌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84년 - 『모당집』 간행
배경 지역 금호강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지도보기
배경 지역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지도보기
성격 한시|오언율시
작가 손처눌

[정의]

조선 후기 대구의 청호서원에 제향된 손처눌금호강을 따라 배를 타다가 해 질 녘에 부강정에 올라 지은 한시.

[개설]

「자이천승혼등부강정(自伊川乘昏登浮江亭)」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1592]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자이천승혼등부강정」손처눌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으로 흐르는 금호강을 따라 배를 타다가 해 질 녘에 부강정에 올라 지은 한시이다. 부강정(浮江亭)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이천리 근방에 있었던 정자인데,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2001년 발행한 『국역 모당선생문집(國譯 慕堂先生文集)』에서는 「자이천승혼등부강정」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이천에서 출발하여 해 질 녘 부강정에 오르다」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자이천승혼등부강정」은 오언율시(五言律詩)이다.

[내용]

사두명낙일(沙頭明落日)[모래언덕으로 낙조 붉게 떨어지면]

강상야개문(江上夜開門)[흐르는 강물에는 밤의 문이 열린다네]

원수미천장(遠樹迷千嶂)[먼 나무는 천 겹의 산속으로 숨고]

취연말일흔(炊烟抹一痕)[인가는 한 그림자 되어 지워지네]

보군지려건(步窘知驢蹇)[걸음 느려진 것은 나귀 절어서이고]

림심각로혼(林深覺路昏)[숲이 깊어져 길이 점점 깜깜하여지네]

피금송하좌(披襟松下坐)[두루마기 펴서 소나무 아래 앉으니]

황약소선원(怳若溯仙源)[황홀한 것이 신선 세계 오른 듯하네]

[특징]

「자이천승혼등부강정」은 ‘원(元)’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오언율시이다.

[의의와 평가]

현재 부강정은 전하여지지 않으나 대구 지역 유사들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시제이다. 「자이천승혼등부강정」을 통하여서 부강정에서 바라보는 금호강(琴湖江)의 선경(善景)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시에서 화자의 처음 위치는 이천(伊川)[현 금호강 일대]의 배 위이다. 수련(首聯)에서는 배 위에서 저 멀리 서쪽 모래언덕으로 지는 해를 묘사하여 시간적 배경을 드러내고, 어둑한 밤에 밝게 떠오른 달이 강 위로 비출 것이기에 오히려 밝아질 모습을 ‘밤의 문이 열린다’고 표현하였다. 연이어 함련(頷聯)에서는 물 위의 밝음과 대조적인 풍경을 제시하였다. 해 질 녘까지 보였던 나무들은 어둠이 지면 산속으로 숨어 버릴 것이고, 인가의 모습도 어둠으로 자취를 감출 것이다. 색감이 드러난 시어를 쓰지 않았지만 풍광을 회화적으로 제시하여 오히려 더욱 감각적이다. 경련(頸聯)은 무릉도원으로 오르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고, 미련(尾聯)은 부강정에서 바라보는 경치를 신선 세계에 빗댄 것이다. 화자의 공간적 위치에 따라 전경의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