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곡리와 마당바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179
한자 艾谷里-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선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0년 - 「애곡리와 마당바위」 『전설지』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5년 - 「애곡리와 마당바위」 『국립공원 문화자원 설화 자료집』에 수록
관련 지명 애곡리와 마당바위 -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용서리지도보기
성격 설화|신선담|지명 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나무꾼|신선|김유신
모티프 유형 신선들의 바둑 두기|지명 유래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에서 마당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애곡리와 마당바위」는 나무꾼이 두 노인이 바둑을 두는 광경을 구경하고 집으로 돌아가려고 하였는데 도낏자루가 다 썩어버렸다는 신선담이자, 자기가 살던 곳은 다 사라지고 쑥대만 자라 있어서 ‘애곡리’, ‘숙실’ 등의 마을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0년 전라북도에서 펴낸 『전설지』의 529~530쪽에 「애곡리와 마당바위」 이야기가 실려 있다. 이는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청등마을 주민 임응순[남, 70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2015년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처에서 간행한 『국립공원 문화자원 설화 자료집』의 71쪽에도 재수록되어 있다.

[내용]

부안군 상서면 용서리의 서남쪽 산중턱에 백여 평 넓이의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마당바위’라고 한다. 이 바위 남단에 3m 가량의 낭떠러지가 있다. 신라의 김유신 장군이 백제의 부흥군을 칠 때 개암동 우금암에서 당나라의 소정방 장군을 만나기로 했는데 이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그때 김유신 장군이 타고 간 말발굽 자국과 마차 자국이 마당바위의 중간에 아직 남아 있다.

마당바위 밑에 절터가 있었는데 그 주춧돌이 남아 있고 주춧돌 옆에는 ‘석당(石堂)’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석당의 돌 밑으로 약수가 나온다. 이 돌에 왼새끼로 된 줄을 치고 하늘에 빌며 약수를 마시면 용천병에 효험이 있다. 이 마당바위 옆에 굴 입구가 있는데 굴의 길이는 1㎞ 정도에서 끝나는데 굴 안쪽에는 길이 세 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굴 안에서 불을 피우면 석 달 열흘 후에야 연기가 하서면 바다로 나온다.

옛날에 마당바위 아랫마을인 애곡리에 한 나무꾼이 살았는데 하루는 나무를 해서 집으로 돌아가다가 마당바위 앞에 도착했다. 마당바위 위에는 머리가 하얀 두 노인이 바둑을 두고 있었다. 나무꾼은 가던 길을 멈추고 잠시 구경을 하였다. 구경하던 나무꾼에게 한 노인이 그만 구경하고 집으로 돌아가라고 하자 정신을 차렸는데 짚고 있던 도낏자루가 다 썩어 있었다. 나무꾼이 나뭇짐을 지고 급히 마을에 내려와 보니 자기가 살던 집도 마을도 다 사라지고 쑥대만 자라 있었다. 이후로 이 마을을 ‘애곡리’라고 부르게 되었다. 애곡리 옆에 ‘숙실’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숙실’도 애곡이란 의미이다. 숙실마을을 ‘지석리(支石里)’라고도 부르는데 지석이란 고인돌이라는 뜻이다. 애곡리와 숙실마을 근처에 5~6개의 지석묘(支石墓)[고인돌]가 있기 때문에 이름이 붙게 된 것 같다.

[모티프 분석]

「애곡리와 마당바위」의 주요 모티프는 ‘신선들의 바둑 두기’, ‘지명 유래’ 등이다. 애곡리에 있는 마당바위 위에 새겨진 말 발자국이 김유신 장군이 탄 말의 흔적이라는 내용은 ‘마당바위’라는 장소에 역사성을 더해 준다. 또한 신선이 마당바위에서 바둑을 두었다는 내용은 신성성을 가미해 주는 요소이다. 굴에서 피운 불의 연기가 석 달 열흘 후에 바다로 나온다는 이미지는 이 굴이 다른 차원의 세계로 연결되는 통로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이 통로를 통하여 신선의 세계로 들어가 두 노인을 만난 나무꾼의 이야기와 연관성을 지닌다. 부안군의 「애곡리와 마당바위」는 신선놀음에 도낏자루 썩는 줄 모른다는 ‘선유후부가설화(仙遊朽斧柯說話)’의 전형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