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계안과 이성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168
한자 仙溪-李成桂
이칭/별칭 「성계(成桂)골과 쌍선봉(雙仙峯)」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시대 시대 미상
집필자 김선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8년 - 「선계안과 이성계」 『전북구비문화자료집』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5년 - 「선계안과 이성계」 『부안군지』2권-부안 사람들의 삶에 수록
관련 지명 선계안 -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지도보기
성격 설화|인물담|지명 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이성계|두 노인
모티프 유형 스승 찾기|지인지감|지명 유래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에서 이성계와 선계안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선계안과 이성계」이성계가 청년 시절에 머물며 공부했던 선계안과 관련된 인물담이자, 쌍선봉을 비롯하여 선계안[암자 주춧돌, 대나무 밭, 반석, 석벽 등]에 대한 지명 유래담이다. 이를 「성계(成桂)골과 쌍선봉(雙仙峯)」이라고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2008년 한국문화원연합회 전라북도지회에서 간행한 『전북 구비문화 자료집』의 559~561쪽에 「선계안과 이성계」 이야기가 실려 있다. 정확한 채록 시기는 미상이다. 2015년 부안문화원에서 편찬한 『부안군지』 2권-부안 사람들의 삶의 674~675쪽에도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성계가 청년 시절에 큰 뜻을 품고 팔도를 두루 돌아다니다가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에 있는 저수지 동북쪽의 선계안[또는 선계골]이라는 곳에 암자를 짓고 공부를 시작했다. 어느 날 남루한 옷차림의 두 노인이 암자에 찾아왔는데 이성계는 그들이 범상치 않은 사람임을 알아보고 글과 무예를 배우는 스승으로 삼았다. 두 노인은 처음에는 스승이 되어 달라는 이성계의 청을 거절했지만 이성계의 끈질긴 간청과 정성에 승락했다. 각각 문과 무예를 지도하였는데 이성계가 총명하여 배움이 일취월장하였고, 곧 배움을 마치게 되었다. 헤어지는 날, 스승과 제자가 헤어짐을 아쉬워하며 배웅을 하다가 암자에서 북쪽으로 천 걸음[삼십 리] 떨어진 봉우리에까지 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하직 인사를 올리자 두 스승이 간 곳 없이 사라졌고 앞에는 봉우리 두 개가 솟아 있었다. 이 봉우리는 월명암 옆에 있는 쌍선봉이다. 선계안에는 이성계가 머물렀던 암자의 주춧돌, 이성계가 심었다는 대나무 밭, 말을 달리면서 활쏘기 연습을 할 때 말발굽 흔적이 남은 반석, 활쏘기 연습 때 활에 맞은 흔적이 있는 석벽이 남아 있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선계안과 이성계」의 주요 모티프는 ‘스승 찾기’, ‘지인지감’, ‘지명 유래’ 등이다. 이성계는 부안의 선계안이 영험이 있는 땅이라 그곳에서 반드시 좋은 스승을 만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스승 만나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남루한 옷을 입은 두 노인이 범상치 않음을 알아보고 그 두 노인을 스승으로 삼아 문무를 겸비하게 된다. 사람을 알아보는 이성계의 지인지감이 나타나 있다. 이성계와 관련된 전설은 전국에 분포되어 있다. 부안군의 이 전설에는 선계안이 이성계의 총명함이 스승을 만나 제대로 꽃피우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는 점에서 선계안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자부심이 들어 있다. 『부안군지』 2권-부안 사람들의 삶과 『전북 구비문화 자료집』에 수록된 내용은 이성계가 두 스승과 이별할 때 두 스승이 갑자기 사라졌기 때문에 두 봉우리의 이름을 ‘쌍선봉’이라고 한다는 부분과 원래 쌍선봉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두 스승이 사라졌다는 부분이 조금 다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