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화촌선생실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637
한자 和村先生實記
영어공식명칭 Hwachon seonsaeng silgi
이칭/별칭 화촌 실기,충강공 이 선생 실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상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77년 - 이술원 출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728년 - 이술원 사망
제작 시기/일시 1884년연표보기 - 『화촌선생실기』 간행
제작 시기/일시 1934년 - 『화촌선생실기』 2책 중간
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현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5가 1
현 소장처 경상대학교 도서관 문천각 -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 900
성격 고도서|문집
작가 이술원(李述原)

[정의]

1884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의 조선 후기 무신 이술원의 문집.

[개설]

『화촌선생실기(和村先生實記)』는 원집 4권 2책의 목판본으로 된 문집이다. 1728년(영조 4)에 일어난 이인좌의 난[무신란] 때 경상남도 거창군 지역에서의 진압 과정과 화촌(和村) 이술원(李述原)[1677~1728]의 내력을 담고 있다. 1884년(고종 21)에 초판이 간행되었고, 1923년에 중간(重刊)[이미 펴낸 책을 거듭 간행함]되었다.

[형태 및 구성]

『화촌선생실기』는 원집 4권 2책의 목판본으로 된 문집이다. 표제는 ‘화촌실기(和村實記)’이고, 권수제(卷首題)[본문 앞에 나오는 제목]와 판심제(版心題)[책장의 가운데 접힌 곳인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는 ‘화촌선생실기(和村先生實記)’이다. 책의 크기는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이 18.9×14.3㎝이고, 광곽(匡廓)[판의 사주를 둘러싼 검은 선]은 30.1×20.2㎝이다. 사주 쌍변(四周 雙邊)[지면의 네 둘레를 두 개의 선으로 돌림]이며, 어미는 상 내향 이엽화문 어미(上內向二葉花紋魚尾)[위쪽의 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어미가 아래쪽을 향하며, 어미 부분에 2개의 화문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각 면은 10행 20자이고, 각 행에는 경계선이 있다.

문집은 김영한(金寗漢)의 중간서(重刊序)[1934]와 김인순(金麟淳)[1810], 송치규(宋穉圭)[1831], 조인영(趙寅永)[1837]의 서문을 시작으로,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세계도(世系圖), 편년(編年), 1728년(영조 4)에 내려진 반교문(頒敎文)[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그 사실을 널리 알리던 교서] 2편과 1788년(정조 12)에 받은 윤음(綸音)[임금이 신하나 백성에게 내리는 말]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연교(筵敎)[임금과 신하가 모여 자문·주달(奏達)하던 자리인 연석(筵席)에서 임금이 내리던 명령], 계사(啓辭)[임금에게 일을 아뢰던 일. 또는 그런 글], 이종성(李宗城) 등 5인이 쓴 제문, 만시 7편, 사원청액소(祠院請額疏), 청시소(請謚疏), 가장(家狀)[이우하], 행장[황경원], 속서(續序)[오위]가 실려 있다.

권3에는 이술원에 대한 묘도 문자 및 포충사와 관련된 글들을 모아 두었다. 시장(謚狀)[김병학(金炳學)], 묘갈명[유척기(兪拓基)], 추식(追識)[이조영(李祚永)], 묘지명[이기진(李箕鎭)], 신도비명[송병선(宋秉璿)], 포충사 묘정내 비문(褒忠祠 廟庭內 碑文)[황승원(黃昇源)], 포충사 묘정외 비문(褒忠祠 廟庭外 碑文)[송환기(宋煥箕)], 고유문(告由文)[중대한 일을 치른 뒤에 그 내용을 적어서 사당이나 신명에게 알리는 글] 5편, 포충사 춘추 상향 축문(褒忠祠春秋常享祝文), 포충사 상량문, 포충사 이건 상량문, 포충사 중수 상량문, 포충사 경의당 중수 상량문(褒忠祠景義堂重修上梁文), 포충사 자전루 상량문(褒忠祠紫電樓上梁文), 정려 상량문(旌閭上梁文), 충효재 상량문(忠孝齋上梁文), 포충사 중수기, 포충사 경의당 중수기, 포충사자 전루기, 포충사 양사당기(褒忠祠養士堂記), 정려 음기(旌閭陰記), 정려 중수기, 충효재기, 충효당기, 충효당명, 찬(贊), 어제시(御製詩)가 수록되어 있다.

권4 부록에는 이술원의 아들 당산(塘山) 이우방(李遇芳)의 「당산공 유사(塘山公遺事)」가 실려 있다. 유사의 내용은 목차를 시작으로 만시, 애사(哀辭), 행장[이의조(李宜朝)], 묘갈명[윤용구(尹用求)], 묘표[김복한(金福漢)], 정려 음기[이민보(李敏輔)], 고유문 2편이 실려 있고, 이우태(李遇泰)가 이인좌의 난 진압 과정을 기록한 「화곡 무신 일기」에서 이우방의 내용만 간추린 「화곡 무신 일기 촬략(和谷戊申日記撮略)」이 덧붙여 있다.

책 끝에 김상현(金尙鉉)의 발문[1870], 송증헌(宋曾憲)의 중간발(重刊跋)[1934], 이조영(李祚永)의 후지(後識)[1934]가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화촌선생실기』는 1728년(영조 4)에 경상남도 거창 지역에서 일어난 이인좌의 난[무신란]에 대한 이술원의 태도와 연안 이씨 집안의 진압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