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473
한자 曉山集
영어공식명칭 Hyosanjip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정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818년연표보기~1873년연표보기 - 『효산집』 변영규가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09년연표보기 - 『효산집』 변기석이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성격 전적
저자 변영규(卞榮奎)
간행자 변기석(卞淇錫)
권책 9권 5책 목활자본(木活字本)
행자 10행 22자
규격 반곽(半郭) 22.5×17.0㎝|광곽(匡廓) 31.3×21.0㎝
어미 상하 내향 이엽 화문 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권수제 효산집(曉山集)
판심제 효산집(曉山集)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사병리 출신 조선 후기와 개항기의 유학자 변영규의 문집.

[저자]

변영규(卞榮奎)[1826~1902]의 자는 사은(士隱), 호는 효산(曉山),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아버지는 변동옥(卞東玉)이다. 어려서부터 경서, 제자백가 등을 두루 읽었다. 운창(芸窓) 박정양(朴正陽), 계운(溪雲) 김낙현(金洛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여러 차례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낙방했다. 아버지가 죽은 뒤로는 과거 응시를 단념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는 한편 후진 교육에도 힘썼다. 1902년 고령으로 통정대부에 올랐으며, 이듬해 천거되어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에 임명되었다. 효행으로 칭송받았으며 시를 잘 지었다. 저술로 9권 5책의 『효산집(曉山集)』이 있다.

[편찬/간행 경위]

『효산집』변영규의 시문집으로 아들 변기석(卞淇錫)이 1909년에 수집, 간행하였다. 『효산집』변영규의 조카 변황석(卞璜錫)의 발문에 의하면 변영규가 죽은 지 6년 후인 1909년 초여름에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사병리 산천재(山泉齋)에서 목활자로 간행하였다고 하였다.

[형태/서지]

9권 5책의 목활자본(木活字本)으로, 규격은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이 22.5×17.0㎝이고, 광곽(匡廓)[판의 사주를 둘러싼 검은 선]은 31.3×21.0㎝이다. 사주 쌍변(四周雙邊)[지면의 네 둘레를 두 개의 선으로 돌림]에 어미는 상하 내향 이엽화문 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2개 어미 가운데 위 어미가 아래쪽, 아래 어미가 위쪽을 향하며, 어미 부분에 2개의 화문이 있는 형태]이다. 각 면은 10행 22자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에 원본이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효산집』은 9권 5책 분량으로, 송병순(宋秉珣)이 서문을 지었다. 1권에서 5권까지는 시 746수가 수록되어 있다. 6권은 소(疏) 1편[「청팔대조 첨정공 증작소(請八代祖僉正公贈爵疏)」], 서(書) 31편[「상운창 박선생(上芸窓朴先生)」, 「상계운 김선생(上溪雲金先生)」, 「여면암 최판서(與勉庵崔判書)」, 「여곽명원 종석(與郭鳴遠鍾錫)」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疏)는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운 변청(卞淸)에게 증직(贈職)을 요청한 것이다. 서(書) 중 「여면암 최판서」에는 면암 최익현을 국사(國士)로 칭송한 후 전통적인 사도(士道)를 지켜 어려운 세태에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 들어 있으며, 「여곽명원 종석」에는 면우 곽종석과 심성이기(心性理氣)의 문제에 관해 언급한 내용이 들어 있다.

7권에는 서(書) 21편[「답김문견(答金文見)」, 「답김윤화(答金允和)」, 「답이방헌(答李邦憲)」 등], 잡저(雜著) 4편[「안분설(安分說)」, 「번리설(藩籬說)」, 「자위설(自慰說)」, 「문설(文說)」], 서(序) 5편[「족보서(族譜序)」, 「향장안서(鄕丈案序)」, 「종안서(宗案序)」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 21편은 대부분 일상적인 문제와 학문에 관해 언급한 단편적인 글들이며, 잡저(雜著)는 간략한 잡문들이다.

8권은 기(記) 14편[「효산 서숙기(曉山書塾記)」, 「쇄소재기(灑掃齋記)」, 「영이정기(詠而亭記)」, 「우송기(友松記)」, 「박유산기(朴儒山記)」, 「오도산기(五道山記)」 등], 발(跋) 4편[「근서족대부사수당 행록후(謹書族大父四守堂行錄後)」, 「서주암시축후(書胄巖詩軸後)」 등], 상량문 1편[「반곡 서당 상량문(盤谷書堂上樑文)」]이 수록되어 있다.

9권은 제문·고유문 16편[「제운창 박선생문(祭芸窓朴先生文)」, 「제문경공 계운 김선생문(祭文敬公溪雲金先生文)」 등], 행장(行狀)·행록(行錄) 8편[「종선조 열호정공 행상(從先祖悅乎亭公行狀)」, 「종선조 지족당공 행략(從先祖知足堂公行略)」 등], 유사(遺事) 1편[「송포신공 유사(松圃愼公遺事)」]이 각각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아들 변기석이 지은 변영규의 행록(行錄)이 수록되어 있다. 행장은 연재 송병선이, 묘갈명은 면우 곽종석이, 「효산당기(曉山堂記)」는 권봉희(權鳳熙)가 지었다. 그리고 제자들의 여러 제문 7편이 붙어 있다. 끝에는 조카 변황석의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효산집』변영규의 학문과 문학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